증권 국내증시

iM證 "한샘, 자사주 소각으로 밸류업 기대…실적 회복은 여전히 '안갯속'" [줍줍리포트]

지난해 4분기 실적, 시장 전망치 하회

일회성 비용 영향…턴어라운드 어려워

자사주 제도 개선으로 일부 소각 기대

김유진 한샘 대표. 서울경제DB김유진 한샘 대표. 서울경제DB




iM증권이 한샘(009240)에 대해 올해 자사주 소각을 통한 주주환원 확대가 기대된다고 진단했다. 다만 영업구조상 고정비 비중이 큰 만큼 매출 상승폭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돼 영업레버리지 효과로 인한 실적 턴어라운드는 어렵다는 전망이다.

이상헌 iM증권 연구원은 10일 보고서를 통해 “한샘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4904억 원, 영업이익 39억 원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했다”며 “리하우스 및 홈퍼니싱 등 기업과 고객건 거래(B2C) 부문 견조한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임직원 생산성 격려금(PI) 상여 45억 원, 통상임금 일시지급 33억 원 등 78억 원의 일회성 비용 등이 발생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영업이익도 시장 전망치 하회를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B2C 부문을 중심으로 매출의 소폭 성장이 기대되지만 고정비용이 큰 영업구조에 따라 실적 턴어라운드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이다. 이 연구원은 “올해 한샘의 매출액은 1조 9540억 원, 영업이익 381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편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부문에서는 자사주 소각을 통한 주주환원 확대가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원은 “한국의 경우 회사가 매입한 자사주가 대주주의 지배력 강화 수단으로 오용되는 등 문제점이 있다”며 “지난해 말부터 상장법인 자사주 제도 개선을 위한 개정안이 시행된 만큼 이를 견제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됐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자사주 보유 현황과 보유 목적, 향후 처리 계획 등에 대하여 이사회 승인 후 공시의무가 부과됨으로써 시장의 감시 및 견제 기능이 강화됐다”며 “한샘이 보유하고 있는 자사주 29.5% 가운데 일정 부분에 대해 소각 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박정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