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트러스톤운용, 이호진 전 회장 복귀 요구…태광 "건강 탓 경영 어렵다"

이 전 회장 등기임원 선임 위한 임시주총 청구

"위기 타개 위해 최대주주의 책임 경영 필요"

태광산업 "이 전 회장의 건강 상태 고려해야"

횡령·배임 의혹을 받는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이 지난 5월 16일 오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횡령) 등 혐의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횡령·배임 의혹을 받는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이 지난 5월 16일 오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횡령) 등 혐의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태광산업(003240) 2대 주주인 트러스톤자산운용이 경영 정상화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의 경영 복귀를 요구했다. 하지만 태광산업 측은 이 회장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난색을 표했다.

트러스톤운용은 20일 공개 주주 서한을 통해 이 전 회장의 등기임원 선임을 위한 임시 주총을 개최해줄 것을 태광산업에 정식으로 요청했다고 밝혔다. 트러스톤운용은 태광산업 지분 6.09%를 보유하고 있다.



트러스톤운용은 현재 태광산업의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고 지적했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16배에 그치고 지난 20년간 평균 배당성향 역시 1.5%로 국내 상장사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다.

관련기사



현 태광산업 임원진의 기업가치 제고 노력도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태광산업은 지난해 SK브로드밴드 주식 매각으로 현 시가총액보다도 많은 9000억 원의 투자 자금을 확보한 상태지만 현재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전혀 밝히지 않고 있다.

트러스톤운용은 아울러 비영업용 자산 비중이 약 40%로 다른 상장사들에 비해 과도하게 높고 자사주 비율이 25%에 달하는 등 현재 태광산업 경영진의 자산 운용 능력이 뒤떨어진다는 점도 문제라고 지목했다. 최근 섬유화학 등 주력사업의 부진으로 태광산업이 4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음에도 신성장 동력 발굴 등 회사 미래 비전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꼬집었다.

이성원 트러스톤ESG운용 부문 대표는 “경영 정상화와 주식 저평가 해소를 위해서는 최대주주이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이 전 회장이 등기임원으로 정식 복귀하는 것이 선결 과제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태광산업 관계자는 “이 전 회장은 2023년 8월 복권 이후 경영 복귀를 준비해왔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상근 집행임원으로 경영 활동을 수행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의료진의 권고를 받았다”며 “일방적으로 주주총회를 소집해 이사로 선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정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