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타스만 최적 구동력의 원천…현대위아 '2속 4WD 시스템' 국내 첫 개발·양산

미국과 스웨덴 등 극한 환경에서 시험

2속 ATC 기반 4륜, 0.01초만에 반응

산악, 자갈길 등 험로도 최적의 주행

"기술력 앞세워 글로벌 수주 확대"

현대위아의 연구원들이 3일 경기도 의왕시 현대위아 의왕연구소에서 2속 ATC와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2속 ATC는 후륜 구동 자동차의 구동력을 주행 상황에 맞게 분배해 최적의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부품이다. 현대위아 제공현대위아의 연구원들이 3일 경기도 의왕시 현대위아 의왕연구소에서 2속 ATC와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2속 ATC는 후륜 구동 자동차의 구동력을 주행 상황에 맞게 분배해 최적의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부품이다. 현대위아 제공




현대위아가 어떤 상황에서도 노면과 타이어가 밀착해 최적의 구동력을 분배하는 4륜구동(4WD) 부품 국산화에 성공했다.



현대위아는 주행 상황에 따라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후륜 기반 전자식 4WD 부품인 '2속 ATC'(Active Transfer Case)를 개발해 양산을 시작했다고 3일 밝혔다.

2속 ATC는 후륜(뒷바퀴 굴림) 구동 자동차의 구동력을 주행 상황에 맞게 앞바퀴나 뒷바퀴로 분배해 최적의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부품이다. 2속 ATC를 개발해 양산하는 것은 국내에서 현대위아가 최초다. 현대위아의 2속 ATC는 기아의 픽업트럭 타스만에 탑재됐다.

현대위아는 험로와 빗길 등 어떤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2속 ATC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상황에 따라 네 가지 주행 모드(2 HIGH, 4 AUTO, 4 HIGH, 4LOW)를 운전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고속도로나 도심 주행 등 일상적 운행에서는 후륜구동 차량과 동일하게 달리는 '2 HIGH' 모드를 선택하는 식이다. 일상에서 4륜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후륜에 필요한 구동력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4 AUTO' 모드를 선택해 주행하면 된다.

관련기사



현대위아의 2속 ATC는 울퉁불퉁한 산악과 자갈 지형 등 험로 주파를 위한 주행모드도 제공한다. 자갈밭이나 빙판길 등에서는 '4 HIGH' 모드로 네 바퀴에 안정적 구동력을 배분해 주행하도록 했다. '4 LOW' 모드는 2.7배 이상의 구동력을 분배해 모래나 바위로 이루어진 극한의 오프로드 상황이나 캠핑용 트레일러 등을 견인 할 때 강한 토크를 낼 수 있도록 돕는다.

현대위아가 국내 최초로 개발한 2속 ATC의 절개품. 2속 ATC는 후륜 구동 자동차의 구동력을 주행 상황에 맞게 분배해 최적의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부품이다. 현대위아 제공현대위아가 국내 최초로 개발한 2속 ATC의 절개품. 2속 ATC는 후륜 구동 자동차의 구동력을 주행 상황에 맞게 분배해 최적의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부품이다. 현대위아 제공


현대위아는 2속 ATC가 주행 상황에 따라 필요한 구동력을 빠르게 판단해 응답하도록 만들었다. 운전자의 입력과 노면에 따라 0.01초 마다 판단해 필요한 구동력을 계산하도록 세팅했다. 차를 사용하면서 생길 수 있는 내구 변화를 파악해 정밀하게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2속 ATC의 제어기와 본체를 일체화 해 정비성을 향상하고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의 편의성도 확보했다. 현대위아는 2속 ATC의 안정성 강화를 위해 세계 각지에서 극한 시험을 진행했다. 국내 산악도로는 물론 미국 캘리포니아와 아랍에미리트의 사막에서 고온과 모래지형 내구 테스트를 펼쳤다. 영하 30도에 이르는 스웨덴 북부에서도 빙판길 신뢰성을 검증했다. 스웨덴에서는 눈으로 덮인 30도의 오르막길을 '4 LOW' 모드로 주행하며 성능을 한계치까지 끌어올렸다.

현대위아는 글로벌 시장에서 수주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누적 1000만대를 양산한 전륜 기반 4WD 부품인 PTU(Power Transfer Unit)와 좌우 바퀴에 구동력을 능동적으로 배분하는 전자식 차동 제한장치(e-LSD)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를 공략할 방침이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어떠한 길에서도 최적의 주행 성능을 제공하도록 2속 ATC를 개발했다"며 "더 적극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