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관세 폭탄' 고비 넘긴 코스피…"中 대응, 실물 경기 지켜봐야"

코스피 급락 출발 후 낙폭 줄여

"관세 조치 지나치게 비현실적"

반도체·제약 관세 대상서 제외

자동차·부품 관세 피해 선반영

실물경기, 관세 협상 지켜봐야

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지수와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16포인트(0.76%) 내린 2486.70에, 코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1.36포인트(0.2%) 내린 683.49로 마쳤다. 연합뉴스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지수와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16포인트(0.76%) 내린 2486.70에, 코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1.36포인트(0.2%) 내린 683.49로 마쳤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주요국을 상대로 예상을 뛰어넘는 고율의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면서, 국내 증시도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렵게 됐다. 시장에서는 반도체·제약 등 국내 증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업종이 관세 대상에서 제외돼 일단은 고비를 넘겼다는 반응이지만, 투자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경기침체와 국내 기업 실적에 미칠 여파를 우려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 대비 0.76% 하락한 2486.70에 마감했다. 장 초반에는 2.73% 내린 2437.43으로 출발했으나, 개장 직후 반등에 성공하며 낙폭을 줄였다. 외국인이 1조 3752억 원 순매도한 반면 기관과 개인이 각각 4608억 원, 7953억 원을 순매수해 지수 하락을 방어했다. 코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 대비 0.20% 떨어진 683.49로 거래를 마쳤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당장 눈앞에 덮친 파고는 일단 넘겼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악의 수’를 먼저 꺼내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스타일을 고려할 때 이번 발표가 ‘최악의 시나리오’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선엽 신한투자증권 이사는 “이번 발표는 미국의 경제에도 큰 타격을 줄 수 있을 정도로 비현실적이어서 그대로 시행될 가능성은 낮다”며 “특히 이달 9일까지 시한을 둔 점을 보면 협상을 염두에 둔 조치로 풀이된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특히 피해가 예상됐던 자동차·가전·부품 업종에서 우려가 이미 상당 부분 선반영된 만큼 시장의 충격은 제한적이었다. 미국 관세발 충격은 올해 들어 네 번째인데, 이날 올 2월 3일(-2.52%), 2월 28일(-3.39%), 3월 31일(-3.00%)보다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에 더해 반도체·제약·방산 등 주도 업종들이 상호관세 품목에서 빠진 점도 주가를 떠받쳤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6.0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5.13% 크게 상승했으며, 관세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네이버(NAVER(035420))와 카카오(035720)도 각각 1.53%, 4.77% 올랐다. 김성수 한화증권 연구원은 “한국에 부과된 관세가 일본·중국·대만 등 제조업 경쟁국 대비 크게 높지 않다는 점도 투자 심리를 안정시키는 데 일조했다”고 짚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번 관세 조치가 단기간에 그치지 않고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 내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가 미국 제조업의 부흥, 즉 ‘리쇼어링’에 있기 때문이다. 고태봉 iM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은 로봇을 포함한 인공지능(AI) 산업의 발전과 국가 안보 차원에서 제조업의 회복을 필수 과제로 보고 있다”며 “최근 현대차가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을 때 백악관이 이를 대대적으로 발표한 것처럼, 미국은 글로벌 기업들이 자국에 생산 시설을 마련하는 모습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때까지 관세 압박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중국과 유럽 등 주요국의 대응을 지켜보되, 실제 관세가 부과될 경우 그 영향력은 향후 2분기 동안 기업 실적과 경제 지표를 통해 평가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동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