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실직 후에 새 일자리를 바로 찾지 못하는 실업자들이 3년여 만에 최대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시장에선 상호 관세 부과 여파로 실물경기 위축이 일어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3일(현지시간) 미 노동부는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한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3월 16∼22일 주간 190만3000건으로 직전 주보다 5만6000건 늘었다고 밝혔다.
노동부는 해당 수치가 2021년 11월 13일 주간(197만명) 이후 3년 4개월 만에 가장 많은 신청 건수라고 설명했다.
계속 실업수당 청구의 증가는 실업 후 새 일자리를 바로 찾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었음을 의미한다.
이를 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주도한 연방정부 및 연방기관의 인력 구조조정의 영향이 큰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반면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지난주(3월 23∼29일) 21만9000건으로, 한 주 전보다 6000건 감소했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2만8000건)도 밑돌았다.
월가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전날 발표한 강도 높은 상호관세 부과의 부작용으로 미국이 경기침체에 진입할 가능성 높아졌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실물경기 동향을 가늠할 수 있는 고용시장 지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