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애플도, 룰루레몬도, JP모건도 하락 중…뉴욕증시 급락의 날

관세 따른 공급망교란 우려 등

나이키 12%, 아마존 7% 급락

나스닥 5% 대 하락 중

상호관세 발표 다음날인 3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한 트레이더가 업무를 보고 있다.상호관세 발표 다음날인 3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한 트레이더가 업무를 보고 있다.




예상을 웃도는 상호관세 충격으로 뉴욕 증시에서 주요 기업들이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높은 상호 관세의 후폭풍이 거시 환경을 어둡게 만들고 주요 산업군의 시장을 위축, 공급망 교란을 야기할 것이란 전망에 업종을 가리지 않는 하락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3일 오후 1시(현지 시각)께 뉴욕 증시에서 애플은 8.29% 하락거래되고 있다. 중국 등 해외 생산 아이폰에 대한 미국내 판매 가격 상승 우려 등 때문이다. 웨드부시의 분석가인 댄 아이브스는 “이번 관세 발표는 월가가 우려햇던 최악의 시나리오보다 더 나쁘다”며 “기술주식은 수요 파괴, 공급망 교란, 중국과 대만에 대한 고관세로 인해 큰 압박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아마존은 7.24%, 메타는 6.35% 내렸으며 HP는 13.8% 하락 중이다.

관련기사



관세로 인해 글로벌 경제 활동이 위축된다는 전망은 은행주에도 직격탄이 됐다. 현재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주식이 9.1% 하락하는 것을 비롯해 JP모건 체이스와 웰스파고도 각각 5.7%, 7.5% 떨어져 거래 중이다.

미국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한 동남아 지역에서 주요 제품을 생산하는 글로벌 스포츠웨어 기업 나이키, 의류 전문업체 갭, 기능성 스포츠웨어 업체 룰루레몬, 가구·가정용품 전자상거래업체 웨이페어 등의 주가도 폭탄 맞은 분위기다. 나이키는 12%, 룰루레몬은 9% 하락 거래되고 있으며 갭은 19% 이상 급락했다.

중국산 저가 상품을 수입해 판매하는 대형 유통업체 파이브빌로는 25% 이상, 달러트리는 9% 이상 미끄러졌다.

생츄어리웰스의 수석 투자전략가인 매리 안 바텔스는 “이번 발표는 관세에 대한 최악의 시나리오였고 이 시나리오는 시장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위험 회피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시각 현재 S&P500과 다우존스지수는 각각 3.2%, 4.1% 하락 거래 중이며 나스닥은 5.2% 미끄러져 거래되고 있다.


뉴욕=김흥록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