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자동네는 공기부터 다르네" 이 말 진짜였다…위성사진 분석해 보니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위성사진을 500m 격자로 촘촘히 분석한 전국 이산화질소의 평균 농도 공간 분포도. 자료 제공=포스텍2018년부터 2022년까지 위성사진을 500m 격자로 촘촘히 분석한 전국 이산화질소의 평균 농도 공간 분포도. 자료 제공=포스텍




위성 사진으로 전국 이산화질소 농도를 분석한 결과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지역의 대기오염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형주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9일 유럽우주국(ESA)의 트로포미 위성 자료와 교통 관련 토지이용 정보를 결합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국 이산화질소 농도를 500m 고해상도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동안은 지상 측정소 수가 제한적이고 고르게 분포하지 않아 수 km 단위의 넓은 지역 평균값만 추정 가능했다.

관련기사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이산화질소 노출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에서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지역에서 이산화질소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1970~80년대 급속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대형 도로와 주택단지가 함께 개발되고 산업단지 주변으로 인구가 집중되면서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지역이 오히려 더 높은 이산화질소에 노출되는 환경이 형성됐다”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 ‘환경과학&기술’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강민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