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분는 5월의 6·25전쟁영웅으로 목숨을 걸 적진에 침투해 성공적으로 정찰 임무를 완수해 949고지 확보에 기여한 고(故) 도태철 육군 중위가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육군종합학교 제30기(통신간부후보생 제11기)로 입교해 1951년 9월 1일 소위로 임관해 제6사단 제7연대 소대장으로 부임했다.
당시 6사단은 중부 전선을 담당하던 미 제9군단의 우익 부대(전선 분할 시 오른쪽을 담당하는 부대)로 1951년 10월, 강원도 김화군 일대의 교암산과 금성 지역으로 북상 중이었다.
그러나 6사단의 빠른 진격으로 미 제9군단과 미 제10군단 사이에 간격이 벌어지고 일부 전선이 돌출되면서 적군이 침투할 수 있는 약점이 됐다. 미 제8군 사령부는 전선을 정비하기 위해 ‘개리(Gary)선’을 새롭게 설정하고 6사단에 해당 선을 확보하라는 명령을 내렸해당 지역은 중공군이 방어에 유리한 주변의 험준한 산악 지형과 고지들을 차지하고 있어 오히려 반격당할 가능성이 커 개리선의 핵심 거점인 949고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정찰과 공격이 필요했다.
이에 도 중위는 같은 해 11월 17일 정찰 임무를 부여받고 소대원 5명과 함께 적진으로 침투, 중공군 기관총 진지 등 적 정보를 수집해 소대원을 통해 국군에 보고했다.
도 중위는 더 자세한 정보수집을 위해 홀로 적진에 깊숙이 들어갔다가 끝내 전사했다. 국군은 도 중위가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도하작전을 전개해 949고지 확보에 성공했다.
이 전투에서 중공군 141명 전사, 포로 생포 13명, 박격포와 기관총 등 다수의 장비를 노획하는 전과를 올렸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52년 5월 1계급 특진과 함께 을지무공훈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