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당한 탄도로 빨랫줄 같은 궤적을 그리며 멀리멀리 날아가는 드라이버 샷은 모든 골퍼들의 첫 번째 희망사항이다. 하지만 볼이 골퍼의 마음을 알 리 없다. 가끔 볼이 하늘 위로 높게 뜨기만 했다가 앞으로는 웨지 샷 거리만큼 나가서 뚝 떨어져 민망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일명 ‘뽕 샷’이라고도 하는 하이볼은 초보 골퍼는 물론 중상급자들에게서도 특히 라운드 초반에 한 번씩 나오는 실수다. 헤드업을 안 하려고 해보고, 티 높이를 좀 더 낮게 조절해 보기도 하지만 이런 샷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면 스윙을 점검하고 수정해보자.
▲주 원인은 찍어 치기…셋업부터 점검을
발사 각도가 너무 높은 드라이버 샷의 원인은 다양하다. 그 가운데 웨지 샷처럼 임팩트 직후부터 높이 솟구쳤다가 짧게 날아가 떨어지는 뽕 샷의 경우에는 임팩트 때 볼이 헤드의 상향 구간이 아닌 하향 구간에서 맞기 때문에 나온다. 다운스윙이 가파르게 내려와 다운블로 형태가 되면서 페이스 상단 또는 헤드 윗부분에 맞아 볼이 하늘로 뜨는 것이다. 볼이 찍혀 맞는다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드라이버 스윙에서 볼이 찍혀 맞지 않고 휘둘러지며 맞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어드레스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백스윙을 완만하게 출발시켜 스윙 궤도가 너무 가파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드라이버 샷의 셋업을 할 때에는 상체(척추)를 타깃 반대쪽(오른쪽)으로 살짝 기울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원활한 백스윙과 어퍼블로(상향 타격) 임팩트를 만들어내는 토대가 된다. 이 때 오른쪽으로 기울인다고 해서 체중을 오른발에 더 실어주는 것은 좋지 않다(50대50을 유지). 오른쪽 어깨가 왼쪽보다 약간 낮아지게끔 어깨 라인만 살짝 기울인다는 느낌을 갖는다. 어깨가 지면과 평행하면 체중이 왼쪽에 실리면서 백스윙 때 몸의 회전이 잘 되지 않는다.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면 클럽을 팔로 들어 올리는 백스윙을 하게 되고 다운스윙 역시 팔로 내려 쳐 볼이 찍혀 맞기 쉽다.
▲손은 몸 회전에 맡겼다가 들어준다
백스윙을 시작할 때 손과 헤드를 동시에 ‘쓰면’ 클럽을 번쩍 들어 올리게 돼 가파른 백스윙 궤도가 만들어진다. ‘쓴다’는 말은 힘을 줌으로써 물리적인 반응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테이크어웨이 초기 단계에서 손을 써서(손에 힘을 줘서) 클럽을 들어 올리려 하지 말아야 한다. 그 대신에 몸의 회전에 따라 손을 옆(타깃 반대쪽)으로 스윽 먼저 밀어주고 나서 헤드를 들어 올리며 손목을 꺾는 코킹을 시작해본다. 다른 사람에게는 스윙의 시작이 헤드부터 움직인 것으로 보이겠지만, 내 스스로는 분명히 손에 힘을 써서 헤드를 움직인 게 아니라 몸의 회전에 손이 먼저 밀린 것으로 느껴지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테이크백 때 일찍 코킹을 하려다보니 클럽을 들어 올리면서 손을 ‘쓰게’ 되면서 백스윙을 잘못된 순서로 시작하는 것이다. 이제부터는 백스윙 출발 때 손을 ‘쓰지’ 말고 ‘밀리게’ 해보자. 여유 있고 완만한 백스윙의 시작은 백스윙과 다운스윙 궤도가 지나치게 가팔라지는 것을 미리 어느 정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김은영은 KLPGA 정회원으로, 명쾌한 레슨으로 유명하며 프랑스 오리진 브랜드 까스텔바작 미디어 프로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