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에서는 영업 시작과 동시에 주택담보대출 신청이 막히는 ‘오픈런’ 현상이 이달 14일부터 사흘 연속으로 벌어졌다. 접수 절차가 마비될 정도로 대출 문의가 쏟아지자 비대면 접수 건수 자체를 하루 150건 아래로 묶어둔 결과다. 한 시중은행의 여신 담당 임원은 “전반적으로 시장금리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어 투자 수요가 갑자기 줄어들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 “3단계 규제가 시행되기 전에 미리 대출을 받으려는 조짐이 조금씩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금융계에서는 올 7월부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도가 시행되는 만큼 규제 시행에 앞서 서둘러 대출을 받으려는 소비자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실제로 금융 당국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규제 시행 뒤 한 해 6000만 원가량을 버는 평균 소득자의 대출 한도는 전보다 약 1200만 원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실수요자 입장에서 보면 다음 달 내로 은행 창구를 찾아야 조금이라도 더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금융 당국이 혼합·주기형 등의 상품에 대해서도 대출 문턱을 높이기로 한 점 역시 막차 수요를 부추기는 요인이다. 당국은 3단계 규제를 도입할 때 스트레스 금리 반영 비율을 변동형의 경우 기존 60%에서 80%로, 주기형은 30%에서 60%로 끌어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금까지 변동금리 상품에 대해서는 반영 비율을 100%로 했지만 준고정금리형 상품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완화된 규제를 적용해왔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순수 고정금리 대출을 확대하기 위해 3단계 스트레스 DSR 도입 시 혼합·주기형 대출에도 2단계 때보다 스트레스 금리 반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우려스러운 대목은 가계대출 증가 폭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이달 들어 15일까지 2조 8979억 원 늘었다. 이 추세가 월말까지 이어진다면 증가 폭은 단순 계산으로 5조 8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4월의 4조 5337억 원은 물론 지난해 8월(9조 6259억 원)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할 수도 있다는 전망 나오는 배경이다.
한편 당국은 수도권이 아닌 비수도권의 대출 한도는 덜 줄인다. 수도권 주담대에는 1.5%포인트의 가산금리를 적용하지만 비수도권에는 1.05%포인트를 붙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DSR에서는 가산금리가 높을수록 대출 한도가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