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한동훈 "李 지역화폐, 나라 망가져도 표 챙기겠단 것" 맹공

20일 金 지원 유세 앞두고 李 공약 비판

지역화폐 문제점과 공약 배경 구체 검증

지난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김문수 후보가 선출된 가운데 한동훈 후보가 승복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김문수 후보가 선출된 가운데 한동훈 후보가 승복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1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지역화폐 공약을 두고 “나라는 망가져도 자신의 표는 챙기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 전 대표는 20일 부산으로 시작으로 김 후보 지원 유세에 돌입한다.



한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이 후보의 지역화폐 발행 확대 및 정부 지원 의무화 공약의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지적했다. 그는 지역화폐의 본질을 “특정 지역, 특정 소매업에만 쓸 수 있는 10% 할인쿠폰을 모든 국민이 낸 세금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규정하며 “나랏돈으로 할인을 제공해 달성하려는 선의의 목적으로 내세우는 것은 두 가지”라고 꼬집었다.

첫째는 지역의 소비자들이 대형마트 대신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소매점에서 소비하도록 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역의 소비자들이 다른 지역에서 할 소비를 지역 내에서 하도록 하는 것이라는 게 한 전 대표의 설명이다.



그는 “그런 목적은 처음부터 실패할 운명이었고 실패했다”며 “일부 지자체만 지역화폐를 발행하고 할인 혜택을 주면 그 지자체 매출은 늘 수 있다. 대신 주변 지자체의 소매점은 매출이 줄어든다”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실제 서울을 포함해 거의 모든 지자체가 정부 보조로 지역화폐를 발행했고 결과적으로 지역 내 소비를 활성화한다는 목적이 유명무실해졌다는 비판이다.

한 전 대표는 “따라서 지역화폐의 효과는 할인만 남은 셈”이라며 “그렇다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내 매장에서 쓸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그러므로 지역화폐 대신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처를 지역화폐 사용처로 확대하면 두 개의 시스템을 운영하는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지역화폐를 발행하는 부대비용이 발행금액의 10% 가량 발생한다는 점을 언급하며 “지역화폐를 1조 원 발행하면 지역 주민에게 돌아가지 않고 날리게 되는 비용이 1000억 원이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 전 대표는 “그렇다면 이재명 후보는 왜 지역화폐를 고집하는가. 그저 자기 브랜드의 상품이고 지역화폐를 통해 기본소득을 추진하기 용이할 것이기 때문”이라며 “현금으로 제공되었으면 더 알차게 쓸 수 있을 것을 지역화폐로 받으니 소위 ‘현금깡’이 빈번할 수밖에 없다”고 몰아붙였다.

그는 “지자체는 현금깡을 막기 위해 단속하는 데 비용을 또 쓴다. 비효율이 일파만파로 커지는 것”이라며 “비효율의 대가로, 나라는 망가져도 자신의 표는 챙기겠다는 것이 이재명 지역화폐론의 본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병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