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가장 칸다운 선택"…'이란사회 고발' 파니히 감독 작품 황금종려상

'잇 워스 저스트 언 액시던트'

정치범 얘기에 웃음 코드 넣어

부조리 억압 폭로에 높은 점수

제78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대상인 황금종려상의 영예를 안은 이란의 반체제 감독 자파르 파나히가 24일(현지) 파리 남부 칸에서 상패를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제78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대상인 황금종려상의 영예를 안은 이란의 반체제 감독 자파르 파나히가 24일(현지) 파리 남부 칸에서 상패를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란의 정치·사회적 환부를 고발해온 반체제 영화 감독 자파르 파나히의 '잇 워스 저스트 언 액시던트'가 칸국제영화제 최고의 영예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24일(현지 시간) 프랑스 남부 휴양도시 칸에서 열린 제78회 칸국제영화제 폐막식에서 황금종려상 수상자로 호명된 파나히 감독은 기립박수 속에 무대에 올라 "국내외 모든 이란인들은 모든 문제와 차이를 제쳐두고 힘을 합치자"며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의 자유"라고 말했다고 AFP·AP 통신은 전했다. 그는 이어 “(이 상은)나를 위한 것이 아니다. 지금 당장 활동할 수 없는 모든 이란 영화 제작자들을 위한 상"이라며 "모든 이란 제작자가 활동할 수 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는 2000년 '써클'로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을, 2015년 '택시'로 베를린영화제 황금곰상을 받은 데 이어 황금종려상까지 수상하면서 세계 3대 영화제 최고상을 모두 석권한 감독에 이름을 올렸다. 앙리 조르주 클루조,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로버트 앨트먼, 장뤼크 고다르에 이어 다섯 번째다.

관련기사



파나히 감독은 반정부 시위, 반체제 선전 등을 이유로 수 차례 체포됐으며, 2010년 20년간 영화 제작 금지와 출국 금지 처분을 받았지만 몰래 영화를 만들어 해외 영화제에 출품해 왔다. 2022년 재수감됐다가 2023년 2월 석방 요구 단식 투쟁을 벌인 끝에 보석으로 풀려났다. 수상작은 그가 석방된 후 처음으로 만든 작품으로 과거 정치범으로 수감됐던 한 남자가 감옥에서 자신을 괴롭힌 경찰과 닮은 사람을 마주치면서 일어나는 일을 그렸다.

올해 칸영화제는 가장 칸다운 선택을 했다는 평가다. 윤성은 영화평론가는 “영화제는 부조리한 사회와 억압 등을 폭로하고 고발한 작품에 높은 점수를 줬다"며 “파나히 감독의 작품을 황금종려상으로 선정한 것은 전 세계적으로 공감을 주는 이슈이자 그동안 칸 영화제가 영화를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라고 분석했다. 우리 사회의 치부를 예리하게 파고들며 웃음 코드를 적절하게 배치해 리얼리즘과 블랙 코미디 장르를 혼합한 작품에 높은 평가를 해온 칸영화제의 심사 기준과 트렌드가 이번에 반영됐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을 비롯해 지난해 성 노동자의 이야기를 블랙 로맨틱 코미디 장르로 선보인 션 베이커 감독의 ‘아노라’도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잇 워스 저스트 언 액시던트'역시 이란 사회의 환부를 드러내 무거울 것 같지만 자신을 괴롭힌 경찰과 닮은 사람을 마주치면서 벌어지는 과정에 웃음 코드를 넣어 장르적 변주를 꾀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경쟁 부문에 진출한 한국 영화가 없었다. 그러나 허가영 감독의 단편 ‘첫 여름’이 영화학교 학생·수료생 등의 중단편을 대상으로 시상하는 ‘시네파운데이션(라 시네프·La Cinef)’ 에서 1등을 차지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윤 평론가는 “한국 영화의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가 신예 감독들의 부재인데 허가영 감독의 수상은 굉장히 좋은 신호"라며 “칸 영화제에 눈도장을 찍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영화제가 계속해서 주목하는 감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2등 상인 심사위원대상은 두 자매가 관계가 소원한 아버지와 겪는 일을 그린 덴마크 출신 노르웨이 감독 요아킴 트리에르의 '센티멘털 밸류'가 받았다. 심사위원상은 모로코를 배경으로 실종된 딸을 찾아 나선 아버지의 이야기를 그린 스페인·프랑스 영화 '시라트'(올리비에 라시)와 여러 세대에 걸친 인간 드라마를 그린 독일 작품 '사운드 오브 폴링'(마샤 실린슈키)에 공동으로 돌아갔다. 1970년대 브라질을 배경으로 부패한 정계에서 벗어나려는 학자의 이야기를 그린 '시크릿 에이전트'는 감독상(클레베르 멘돈사 필류)과 남우주연상(와그너 모라)을 차지했다. 여우주연상은 이번이 영화 데뷔작으로 ‘더 리틀 시스터’에 출연한 23세의 프랑스 배우 나디아 멜리티에게 돌아갔다. 각본상은 황금종려상을 두 차례 수상한 거장 형제 감독 장 피에르 다르덴·뤼크 다르덴이 '더 영 마더스 홈'으로 받았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