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48.4%'인 국가채무비율 묻자…김민석 "20~30% 정도"

국가채무비율 질문에 틀린 수치로 빈축

정부예산엔 "숫자까지 말해야 하나" 머뭇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인사청문회에서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을 묻는 질문에 틀린 수치를 제시해 빈축을 샀다.



김 후보자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국가채무비율이 어느 정도인지 아느냐’는 김희정 국민의힘 의원 질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보다 낮다고 보기도 하고, 높다고 보기도 하고”라고 답했다. 이에 김 의원이 “정확한 소수점이 아니라 어느 정도 규모로 가늠하느냐”고 재차 묻자 “20~30% 정도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 의원은 “지금 우리나라 국가채무비율이 48.4%이고 지금 추경(추가경정예산 집행)을 편성하면 이걸 넘어설 위험에 있다”며 “(김 후보자가) 지금 당장 국회에 올라와 있는 추경안에 대해서도 전혀 못 살피고 있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김 후보자는 올해 정부 예산 규모에 대한 질문에도 “추계를 다시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김 의원이 “어느 정도인지 대강 말하라”고 다그치자 “정확한 숫자까지 말해야 하냐”고 반문했다.

김 의원은 “올해 예산안이 673조 규모”라며 “민생 경제 회복을 이끌기 위해서 우리나라 살림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있어야야 하고,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을 알아야지 국가채무비율을 조정하고 이번에 돈을 살포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것보다 훨씬 더 작은 단위의 본인 재산도 관리가 안 되면서, 예상했던 대로 국가 전체 경제에 대한 그림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 같아 매우 유감”이라고 비판했다.


이진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