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농촌 이주 늘었지만 농사는 외면…귀농 가구 20% 급감 [Pick코노미]

귀촌가구·인구 3년 만에 반등에도

농사 짓는 가구는 역대 최대폭 감소

귀농 가구주 60% 이상 50~60대

농촌 고령화 가속화 막는데 한계

지난해 귀촌 인구는 늘었지만 실제 농사나 어업에 종사하는 귀농·귀어 인구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지난해 귀촌 인구는 늘었지만 실제 농사나 어업에 종사하는 귀농·귀어 인구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지난해 도시에서 농어촌으로 이주한 귀촌 가구가 3년 만에 처음 늘었지만 농사나 어업을 목적으로 정착한 귀농·귀어 가구는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구주의 연령대가 대부분 50~60대로, 농어촌이 빠른 속도로 늙어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4일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가 공동으로 발표한 ‘2024년 귀농어·귀촌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촌 가구는 31만 8658가구로 전년 대비 4.0%, 귀촌 인구는 42만 2789명으로 5.7% 증가했다. 귀촌은 농어업에 종사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농어촌에 이주한 경우를 뜻한다. 이주 직전 1년 이상 농어촌이 아닌 지역에 주민등록이 돼 있어야 한다. 귀촌 가구와 인구가 모두 늘어난 것은 2021년 이후 3년 만이다.





가구주 평균연령은 45.4세다. 30대가 23.4%로 가장 많고 △20대(20.2%) △50대(17.8%) △40대(16.1%) △60대(15.1%) 등의 순이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30대가 8.4%로 가장 높았다. 귀촌 가구 중에서는 1인 가구가 76.9%로 압도적이다.

관련기사



귀촌은 늘었지만 농사나 어업을 위해 이주한 귀농·귀어인은 되레 줄었다. 지난해 귀농가구는 8243가구로 전년대비 20.0% 줄며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2011년 처음 1만가구를 넘어선 뒤 13년 만에 1만 선이 무너졌다. 귀농인은 8403명으로 20.3% 감소했다. 귀농 가구주의 평균연령은 55.6세다. 60대(37.9%)와 50대(29.2%)가 전체의 67%를 차지했다.

귀어 가구는 555가구로 22.5% 줄었고 귀어 가구주의 평균연령은 53세였다.

농어업에 종사하는 귀농·귀어 가구와 인구가 줄고 연령대도 높아지면서 농어촌의 고령화가 한층 빨라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통계청의 2024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농가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 비율은 55.8%로 전년보다 3.2%포인트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고령인구 비율의 세 배 수준이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