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원자력연 연구소기업 ‘더센텍’ 설립…3D프린터로 수소차 핵심부품 제작

저렴한 소재 쓰고 공정 통합

분리판 소재비 2000분의1

3D 프린터로 수소연료전지 분리판을 제조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3D 프린터로 수소연료전지 분리판을 제조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제11호 연구소기업 ‘더센텍’을 설립했다고 30일 밝혔다. 더센텍은 3차원(3D) 프린팅을 활용해 수소자동차 핵심부품을 포함한 주요 소재·부품·장비(소부장)를 효율적으로 제작하는 기술을 가졌다.



더센텍은 특히 수소연료전지 분리판을 기존 금(金) 코팅 방식보다 2000분의 1 비용으로 만들 수 있다고 원자력연은 설명했다. 분리판은 수소와 산소의 흐름을 유도하고 만들어진 전기를 전달하며 두 기체가 직접 섞이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수소연료전지 단가 중 24%를 차지하는 수소차 핵심부품이다.

관련기사



기존 수소연료전지는 부식 방지를 위해 비싼 금이나 백금을 써야 했다. 성형·가공·코팅을 따로 진행해야 해 비효율적이기도 하다. 더센텍은 이보다 싼 크롬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해 소재 비용을 2000분의 1로 줄이는 동시에 3D 프린팅으로 성형·가공·코팅을 한번에 해내 제작 시간을 3분의 1로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부식을 막는 내부식성도 기존 기술 대비 90% 이상 수준을 유지했다.

더센텍은 유로(燃料)도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다. 유로는 수소와 산소가 고르게 퍼지도록 도와주는 미세한 통로다. 연료전지 내부 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해 전기 생산 효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외 극한 환경 산업용 소부장 제작도 효율화할 수 있다.

더센텍은 2021년 11월 연구원 창업기업으로 출발해 정부출연연구기관 공동지주사 한국과학기술지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기관이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인가를 받아 전국 5개의 대형특구나 14개 거점별 강소특구 내 설립하는 기업이다.

주한규 원자력연 원장은 “연구원 출자 기술이 수소연료 시장 확장을 위한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길 기대한다”며 “더센텍이 연구원 연구소기업들의 명성을 이어 3D 프린팅과 코팅 기술 분야에서 선도기업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윤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