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5월 생산·투자 뒷걸음… 간신히 '트리플 감소' 면해

5월 생산 -1.1%·투자 -4.7%

소비 보합세…석달째 반등 못해

정부 "1차 추경, 재해복구 초점

2차 시행땐 내수회복 도움될 것"

최창윤 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이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5월 산업활동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최창윤 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이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5월 산업활동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5월 전 산업 생산과 설비투자가 동반 감소했다.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보합세를 나타내 2개월 연속 ‘트리플 감소(생산·투자·소비가 모두 감소)’는 가까스로 모면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5년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5월 전산업생산지수는 112.5(2020년을 100으로 본 상대적 지수)로 전달 대비 1.1% 감소했다. 우리나라 주력 산업인 제조업 생산이 3% 줄어드는 등 광공업 생산이 부진했다. 서비스업 생산도 정보통신(-3.6%), 운수 및 창고(-2.4%), 숙박 및 음식점(-0.1%) 등을 중심으로 같은 기간 0.1% 감소했다.

전 산업 생산은 올 들어 대체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2월(0.7%)과 3월(1.1%) 반짝 회복세를 보였으나 4월(-0.8%) 이후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해 5~7월까지 석 달 연속 감소한 뒤 최장 감소 기록이다. 주력 산업인 반도체 생산 역시 4월(-2.7%)에 이어 5월(-2.0%)도 감소세를 보였다. 자동차 또한 4월(-4.1%)과 5월(-2.3%) 두 달 내리 감소했다. 자동차와 건설 등 전방 산업 부진에 금속가공 생산은 5월 6.9%나 줄었다.




제조업 생산이 줄면서 투자도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5월 설비투자는 4.7% 감소해 석 달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보였다. 낙폭도 4월(-0.5%)보다 더 커졌다. 운송장비(0.1%)에서 투자가 늘었지만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의 기계류(-6.9%)에서 투자가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관련기사



5월 건설기성은 건축(-4.6%)과 토목(-2.0%)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면서 3.9% 감소했다. 이 또한 4월(-1.4%)과 비교해 감소 폭이 커졌다.

소매판매액지수는 5월 101.4로 전월과 같았다.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1.2%)와 의복 등 준내구재(0.7%)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화장품 등 비내구재(-0.7%) 판매는 줄었다. 3월(-1%)과 4월(-0.9%) 감소했던 소매판매는 5월 초 13조 8000억 원의 1차 추가경정예산안 처리에도 불구하고 석 달째 반등에 실패했다.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1차 추경은 산불 피해 등 재난 재해 대응과 대미 관세 대응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어 곧바로 소매판매에 잡히지 않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며 “13조 2000억 원 규모의 민생 회복 소비 쿠폰이 포함된 2차 추경이 시행되면 소비 지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경기 국면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5월 기준 98.5로 전달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1월(-0.4포인트) 이후 2~4월부터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다 넉 달 만에 내려앉았다. 미래 경기 국면을 보여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100.9로 0.1포인트 낮아지면서 석 달째 이어진 상승세가 중단됐다.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