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17년 이후 대형산불 6배 이상 늘어…이상기후 탓 아닌 인력효율 문제"

[괴물 산불 100일]

■산불 전문가 황정석 산불정책기술연구소장

산림청 진화인력·출동거점 태부족

감시원 1만명 있지만 대부분 고령





“최근 대형 산불이 늘고 있는 것은 산불 진화의 ‘키’인 효율적인 인력배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황정석(사진) 산불정책기술연구소장은 3일 서울경제신문과 전화 인터뷰에서 “대형산불이 자연재난·사회재난의 성격 뿐 아니라 산림 인근 지자체의 인명, 재산 피해로 이어져 초기 진화가 중요하다”며 “현재로서는 진화체계가 모두 무너져 산불의 초기대응이 어렵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는 13년 간 산불이 발생한 현장을 600곳 이상 방문해 상황을 파악할 만큼 산불에 대해서는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황 소장은 “2017년을 전후로 대형산불은 연평균 0.7회에서 4.6회로 늘고 피해 규모는 1700%가 늘었다”며 “산림청은 기후변화를 원인으로 꼽지만, 결국엔 인력 문제 탓”이라고 분석했다.

산림청은 지난 3월 의성 산불의 피해가 확대된 원인을 강풍으로 거론했다. 그러나 그는 한창 불이 확산됐던 22~25일 사이 바람이 한 점 없었다고 강조했다. 황 소장은 “2017년 이후 대형 산불이 6배 이상 늘었고, 피해 규모가 17배 이상 커진 가운데 기후가 원인이려면 온도가 35~40℃가 유지되고, 습도가 20% 이하로 떨어져야 한다”며 “피해가 커진 이유는 무너진 진화체계에 산불 초기대응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산불 발생은 산림청의 소관 업무지만 인력도, 거점도 부족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국회입법조사처에 따르면 올 1월 기준 산림청의 산불 진화 인력은 산불재난특수진화대 435명을 포함해 1944명이다. 정규직에 속하는 공중진화대는 104명으로 1997년 이후 1명도 늘지 않았다. 반면 소방청에 속한 소방관은 6만7198명,의용소방대는 9만2484명으로 총 15만9682명이다. 출동거점도 산림청이 240개인데 비해 소방청은 1500개가 넘는다.

황 소장은 “지방자치단체에 속한 산불감시원이 1만 여 명이 있지만, 이들의 95%가 70~90대 노인들로 일급도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6만5000원을 받고 있다”며 “그들마저도 산불감시원 활동을 할 수 있는 횟수 제한이 2회에 불과해 사실상 전문진화인력으로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아울러 헬기진화도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헬기진화는 불머리 잡는 용도로 전체 산불 진화의 1%에 불과하다"며 “결국은 효율적인 인력 운영을 위해 모든 인프라가 구축돼 있는 소방청에 이관하고 예산을 배정하는 편이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밝혔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