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3일 “차이는 불편한 것이기도 하지만 시너지의 원천이기도 하다”면서 진영을 가리지 않는 인선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검찰 개혁’ 정책을 담당할 민정수석 등에 검찰 출신 인사들을 임명한 것을 둘러싼 진보 진영의 우려에 ‘실용 인사’ 원칙으로 답한 것이다. 대야(對野) 관계 설정에는 “야당도 국민의 선택을 받은 대표들이기 때문에 충분히 존중해야 한다”면서도 “타협과 야합, 봉합과 통합은 구분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 전체를 대표하는 대통령의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실제로 우리 국민들이 하나로 모일 수 있는 통합의 국정을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내각 인선에 대해 “한쪽 편에 맞는 사람만 선택하면 (국정 운영) 속도도 나고 갈등은 최소화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같은 색깔만 쭉 쓰는 것은 위험하다”며 “성향이 다르다고 배제하기 시작하면 남는 게 없다. 어쩌면 정치 보복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특유의 ‘비유 화법’을 들며 “시멘트·자갈·모래·물 이런 것을 섞어야 콘크리트가 된다. 시멘트만 잔뜩 모으면 그냥 시멘트 덩어리가 되고 모래만 잔뜩 모으면 모래 덩어리가 될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사는 그 자체가 목표 또는 목적이 아니고 어떤 정책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라며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 것인지를 갖고 평가하거나 판단하는 게 좋을 것 같다. 시간을 주고 기다려 달라”고 당부했다.
야당과의 대화 방침도 형식보다 성과에 중점을 뒀다. 이 대통령은 “(영수회담 정례화는) 형식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저는 필요하면 한다. 필요할 때마다 만나면 된다”며 “정말로 협의 또는 타협·통합에 필요한 것들은 제가 최종 책임자이기 때문에 (대화를) 많이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집권 초기 60%대 안팎의 국정 운영 지지도를 유지하는 데 대해선 “60%가 그렇게 높은 숫자는 아닌 것 같다”면서 “좀 더 낮은 자세로 더 진지하게 국민들의 지지를 획득하고 인정을 받기 위해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정부에서부터 이어지는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 해법으로는 “(의료계에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환영 성명을 냈다. 복지부 장관이 빨리 임명되길 기대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