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베선트 “100여개 국에 10% 관세 부과 후 협상”…불성실협상국엔 경고 메시지도

상호관세 57개국 외에도 10% 부과할 듯

“불성실 협상시 4월 2일 관세율 적용” 압박

관세, 인플레이션 요인아냐…“일시적 영향”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달 27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의회에서 기자들에게 발언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달 27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의회에서 기자들에게 발언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오는 9일(현지 시간) 각 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 유예 기한이 종료되는 가운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약 100개 국가에는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한 후 협상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57개국 이외의 국가에도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방침으로 풀이된다. 동시에 상당수 무역 상대국가에는 10%의 기본 관세만을 적용하고 있는 현행 유예 조치를 사실상 연장하는 조치를 내리겠다는 의미로도 읽힌다. 다만 베선트 장관은 관세 유예 기한 내 합의 노력이 없는 나라에는 4월 2일 부과했던 최초 상호관세를 매기겠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유예기간(8일까지)이 종료 이후의 계획에 대한 질문에 “7월 9일 전까지 무역 합의가 쏟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며 “대통령이 협상 상대국들이 성실하게 협상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아마 약 100개 국이 최소 상호관세율인 10%를 적용받게 될 것이라고 보나”며 그리고 그 뒤 추가 협상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트럼프 행정부는 앞서 4월 2일 한국 등 57개 경제권(56개국+유럽연합)에 최소 10%의 상호관세를 매겼다. 이후 발효일인 4월 9일, 7월 8일까지 3개월 동안 10%를 제외한 나머지 관세율은 적용하지 않겠다고 유예한 바 있다. 이를 고려할 때 100개 국에 10%를 적용한 뒤 협상을 진행하겠다는 베선트 장관의 발언은 당시 상호 관세를 부과한 57개 경제권 뿐 아니라 200여 개국에 달하는 미국의 전체 무역 상대국을 포함한 것으로 풀이된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별도로 진행된 CNBC와의 인터뷰에서는 상대국이 불성실하게 나올 경우 9일이 되더라도 상호관세를 유예하는 대신 최초 발표한 관세율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물론 모든 나라들은 최선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마지막 순간까지 기다리려고 한다”며 “다만 이미 경고했듯 이들 나라들은 상호관세율이 4월2일 책정한 수치로 되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각국이 선의로 대미 협상에 임하는지 여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 이렇게 전세계에 나가는 방송에서 10% 유예를 보장하겠다고 말할 생각은 없다”며 “그들은 스스로 (협상을) 마무리 지으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20%에 합의됐다고 발표한 베트남과의 무역협상과 관련 10%의 기본 관세에 20%가 더해지는 구조가 아니라 단순히 베트남에 20%의 관세율을 적용하는 것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그는 이 합의는 “원칙적으로는 최종 합의된 상태”라고 전했다.

베선트 장관은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것이라는 관측에 반박했다. 그는 “기업들은 이미 10% 관세에 적응한 상태”라며 “(베트남에) 추가 10% 관세가 부과되면 지켜봐야겠지만 나는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관세가 지금까지 인플레이션을 올리지 않았고, 가격을 올리더라도 지속적인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관세 부과 시점에 일시적인 영향을 준다는 설명이다.


뉴욕=김흥록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