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치료법도 백신도 없다”…감염된 박쥐에 물린 50대, 결국 사망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 소속 광주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무등산국립공원 탐방로에서 천연기념물 제452호,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붉은박쥐'를 발견했다. 광주시 제공=뉴스1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 소속 광주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무등산국립공원 탐방로에서 천연기념물 제452호,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붉은박쥐'를 발견했다. 광주시 제공=뉴스1




호주에서 한 남성이 박쥐에 물려 전염되는 극히 드문 ‘광견병 유사 감염병’에 걸려 사망한 사례가 발생했다.



3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호주 남동부 뉴사우스웨일스주 보건당국은 몇 달 전 ‘호주 박쥐 리사바이러스(Australian bat lyssavirus, ABLV)’에 감염된 박쥐에 물린 50대 남성이 최근 사망했다고 밝혔다. 박쥐의 정확한 종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호주 박쥐 리사바이러스는 현지에는 존재하지 않는 광견병과 유사한 바이러스로, 박쥐의 침이 사람의 체내에 침투할 때 감염된다. 물리거나 할퀴는 과정에서 전파될 수 있고, 일단 증상이 발현되면 치료가 어려운 치명적 바이러스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이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며칠에서 수년에 이를 수 있다. 초기에는 두통·발열·피로 등 독감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다가 이후 신경계에 빠르게 영향을 미쳐 마비·섬망·경련을 동반하다가 결국 사망에 이른다.

관련기사



호주 박쥐 리사바이러스는 1996년 처음 발견된 이후 지금까지 인간 감염 사례는 단 3건뿐이었지만, 결국 모두 사망했다. 따라서 이번이 네 번째 감염이자 사망 사례다. 보건당국은 “비극적인 죽음에 진심으로 애도를 표한다”며 “호주 박쥐 리사바이러스 감염 사례는 극히 드물며,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다"고 경고했다.

이어 “호주의 어떤 박쥐든 호주 박쥐 리사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박쥐를 직접 만지거나 다루는 걸 피해야 한다"며 "박쥐에게 물리거나 할퀸 경우, 즉시 비누와 물로 상처를 15분간 철저히 씻고 항바이러스 소독제를 바른 후 광견병 면역글로불린과 광견병 백신으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야생 박쥐는 코로나19를 계기로 ‘병원균의 저수지’라고 불릴 정도로 인간을 감염시킬 수 있는 수많은 병원균을 포함해 수많은 미생물의 숙주로 알려졌다.

지난 2월엔 중국과학원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원들이 사람에게 전염 가능한 신종 박쥐 코로나바이러스(HKU5-CoV-2)를 발견했다고 발표했고, 지난 1월에는 콩고민주공화국 에콰테르주 볼로코 마을에서 박쥐를 먹고 사망한 어린이 3명으로부터 전염병이 시작돼 전염병 발병 5주만에 5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도 발생한 바 있다.

“치료법도 백신도 없다”…감염된 박쥐에 물린 50대, 결국 사망


김도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