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4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박종준 전 경호처장을 소환 조사했다. 순직해병 특검은 해병대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 방해 의혹의 몸통 격인 이른바 ‘VIP 격노설’에 대해 다음 주부터 수사에 착수한다. 김건희 특검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관련 인물을 불러 조사하는 등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겨냥한 세 갈래 특검 수사가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내란 특검은 이날 이 사회부총리와 박 전 처장을 불러 조사했다. 2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3일 김주현 전 민정수석과 김성훈 전 대통령 경호처 차장에 이은 ‘줄소환’ 조사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내란 특검이 5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소환 조사를 앞두고 증언 확보 등 사전 준비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12·3 비상계엄 전후 국무회의 상황은 물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체포영장 집행 방해, 비화폰 정보 삭제 등까지 윤 전 대통령을 둘러싼 혐의를 입증하기 위해 이른바 ‘다지기’ 작업에 나섰다는 것이다. 이 부총리는 지난해 12월 3일 계엄 선포 전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라’는 통보를 받지 못해 불참했다. 반면 이튿날 계엄 해제를 위해 열린 국무회의에는 참석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 정족수 11명을 채우기 위해 특정 국무위원만 불렀다는 점에서 이 부총리 등 소집 통보를 받지 못한 국무위원들이 계엄 선포를 심의할 권한을 박탈당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특검은 박 전 처장에 대해서는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에 대해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순직해병 특검의 경우 다음 주부터 VIP 격노설에 대한 수사에 착수한다. 윤 전 대통령이 대통령실 회의 당시 채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 조사 결과를 보고 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했고 이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돌연 언론 브리핑과 함께 경찰 이첩 보류를 지시했다는 것이 VIP 격노설의 골자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특검 사무실에서 연 브리핑에서 “수사 외압 의혹이 촉발된 계기는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회의로 이후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혐의자에서 빠졌다”며 “이 회의 관계자들을 다음 주부터 불러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순직해병 특검은 우선 7일 김계환 전 사령관을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김 전 사령관은 채 상병 사건 초동 조사를 이끌었던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처음으로 VIP 격노설을 전달했다고 알려진 인물이다. 하지만 그는 이 같은 발언을 한 적이 없다고 부인하며 지난해 12월 전역했다.
한편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검팀은 3일 삼부토건과 피의자 주거지 등 13곳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이날 이응근 전 삼부토건 대표를 불러 조사했다. 오정희 특검보는 이날 정례 언론 브리핑에서 “삼부토건 관련 회사 대표를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며 “압수 대상에는 2023년 2월 삼부토건 주식을 디와이디에 매각한 이석산업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른 사건들에 대해서도 금융정보분석원(FIU) 자료 요청, 계좌 추적 영장, 소환 조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사가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특검팀은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을 출국금지 조치 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