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서는 절대 집 못 살 거 같아서"…사람들 우르르 몰려간 '이 동네'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뉴스1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뉴스1




서울 아파트값이 계속 치솟으면서 주택 수요자들이 경기·인천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른바 ‘탈서울’ 행렬이 이어지며 경기 하남·광명에서는 아파트 매수자 10명 중 3명 이상이 서울 거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부동산원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경기 아파트 매매거래 1만9332건 가운데 서울 거주자가 매수한 건수는 2558건으로 전체의 13.2%를 차지했다. 전월(12.6%) 대비 0.6%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서울 거주자가 가장 많이 몰린 지역은 하남시다. 하남 아파트 매입자 중 35.8%가 서울 거주자로, 경기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광명(34.9%)이 그 뒤를 이었고 김포(24.2%), 의정부(20.9%), 고양(20.7%) 순으로 집계됐다.



인천으로 눈을 돌리는 서울 거주자도 늘어가는 추세다. 6월 인천 아파트 매매에서 서울 거주자 매입 비중은 7.4%로, 전월(6.6%) 대비 0.8%포인트(p) 늘었다. 구별로는 계양구가 11%로 가장 높았고 서구·부평구가 각각 9.4%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업계에서는 서울 집값 상승 피로감이 쌓이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경기·인천으로 수요가 옮겨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에 따르면 올해 1~6월 서울 아파트값은 3.36% 상승했지만, 경기는 0.27%, 인천은 0.90% 각각 하락했다.

탈서울 흐름에 따라 서울 인구도 빠르게 줄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6월 기준 서울 총인구는 932만 5616명으로 1년 전보다 4만명 이상 감소했다. 2022년부터 최근까지 약 40만명이 줄어든 셈이다.

반대로 경기도는 매년 3~4만명씩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1년간만 5만명이 늘었다. 인천 인구도 같은 기간 3만명 늘어 6월 기준 304만명을 기록했다. 2022년 295만명이던 인천 인구는 지난해 300만명을 돌파한 뒤 꾸준히 상승세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탈서울은 단순한 집값 문제를 넘어 중장기적인 인구·주거 구조 변화”라며 “수도권 주요 지역으로의 인구 분산이 더 빨라질 수 있고, 수도권 내에서도 입지에 따른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서는 절대 집 못 살 거 같아서"…사람들 우르르 몰려간 '이 동네'


조수연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