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장기 국고채 발행이 지속적으로 늘어 유동성 저하가 우려되는 만큼 국고채 만기를 분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만기 1년 이하의 단기 국고채 도입도 대책으로 제시됐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장보성·정화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국고채 만기 장기화의 배경과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근 10여 년 동안 30년물을 중심으로 초장기 국고채 발행이 빠르게 늘면서 국고채 평균 만기가 2014년 7.1년에서 2024년 13.2년으로 확대됐다. 국고채 만기 장기화의 원인으로 보고서는 보험업권의 초장기채 수요 증가를 꼽았다.
일반적으로 보험사는 보험 계약이 장기로 이뤄지기 때문에 부채 듀레이션이 매우 길다. 자산·부채 간 듀레이션 차이가 크면 시장 금리 변동에 따른 자본 변동성과 지급여력 비율의 민감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초장기 국고채 매입을 지속해 자산의 듀레이션을 확대해온 것으로 분석된다.
보고서는 최근과 같은 발행 비중이 유지된다면 2030년 중반까지 국고채의 평균 만기가 추가로 증가하고, 전체 국고채 잔액에서 초장기채 경과물이 절반을 넘어설 것으로 분석했다. 절대적인 규모도 현재의 2배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초장기 국고채는 경과물로 전환될 때 유동성이 급격히 저하된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재정 관리 측면에서 국고채 만기를 효율적으로 분산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초장기물에 대한 발행 집중도를 중장기적으로 완화하는 한편, 만기 1년 이하의 단기 국고채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