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과 대형학원 등을 운영하고 있는 이른바 ‘슈퍼리치’들이 금융 전문가들과 짜고 1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동원해 장기간 조직적으로 주가를 조종해오다 금융당국에 적발됐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 합동대응단은 23일 종합병원, 한의원, 대형학원 등을 운영하고 있는 재력가들이 금융회사 지점장, 자산운용사 임원, 유명 사모펀드(PEF) 전직 임원 등 금융 전문가들과 공모해 지난해 초부터 지금까지 은밀하게 주가를 조작해와 이들에 대한 대대적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합동대응단에 따르면 이들은 400억 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취했고 실제 얻은 시세 차익만 230억 원에 이른다. 현재 보유 중인 주식도 1000억 원 상당이다. 혐의자들은 지난해 초부터 평소 일별 거래량이 적은 종목을 주가조작 대상으로 정하고 자신들이 운영하는 법인자금, 금융회사 대출금 등을 동원해 1000억 원 이상의 시세조종 자금을 조달, 유통물량의 상당수를 확보해 시장을 장악했다. 혐의자들의 매수주문량이 시장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혐의자들은 고가매수, 허수매수, 시·종가관여 등 다양한 시세조종 주문을 통해 장기간에 걸쳐 꾸준한 주가 상승세를 만들어 투자자를 유인했다. 금융당국의 감시망을 회피하기 위해 수십 개의 계좌를 통해 분산 매매하고 자금흐름을 은폐했을 뿐 아니라 주문 인터넷프로토콜(IP)도 조작했다. 이들이 이렇게 1년 9개월 동안 매일 주가조작을 실행한 결과 해당 주식의 주가는 조작 전 대비 약 2배 수준으로 올랐다.
이들은 친·인척, 학교 선후배 등의 인적 관계로 묶여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아직까진 시세조종, 불공정거래 전력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금융위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주가조작에 이용된 수십개의 계좌에 대해 자본시장법에 따른 지급정지 조치를 최초로 시행하고, 합동대응단은 혐의자 7명의 자택, 사무실 등 10여개 장소에 대해 전방위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주가조작 대상이 된 종목은 대체거래소(ATS)에서 거래되는 코스피 상장사다. 합동대응단장을 맡고 있는 이승우 금감원 부원장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주가조작 종목은) 한 종목”이라며 “종목명이 알려지면 하한가를 갈 수 있어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이날 장중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어느 정도 소문이 퍼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승우 단장은 “이 종목은 경영권 분쟁이 현재 발생되어 있는 것으로 공시가 되어 있는 종목”이라며 “행동주의 펀드에 관여했던 혐의자도 관련돼 있는 경영권 분쟁인데, 이 상황을 고의로 이용했는 지 등은 앞으로 조사를 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합동대응단은 향후 자본시장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조치도 고려하고 있다. 이 단장은 “혐의자들이 직접 매도할 수는 없지만 관련 계좌가 더 있고 일반투자자 매도로 폭락이 이어진다면 거래소와 함께 시장 조치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