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출 규제 이후 주춤했던 서울 지역의 15억 원 초과 아파트 거래가 지난달부터 다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규제지역 지정 가능성이 커진 비강남권 한강벨트 지역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뤄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대출 규제 후 늘었던 9억 원 이하 저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반대로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올 9월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총 5186건(공공기관 매수·계약 해제 건 제외)으로 이 가운데 15억 원 초과 거래 비중은 21.1%(1070건)에 달했다. 전월(17.0%)에 대비 4%포인트 이상 증가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 이후 거래량이 크게 줄었고 특히 고가 아파트의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다. 올 6월 28.2%였던 15억 원 초과 거래 비중은 7월에 24.1%로 줄었고 8월에는 17.0%로 크게 감소했다. 그러다 9월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며 20%대로 올라선 것이다.
15억 원 초과 중에서도 15억 초과∼30억 원 이하 거래 비중이 19.4%를 차지하며 전월(14.6%)에 비해 5%포인트 가까이 늘었다. 9·7대책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추가 규제지역 지정 가능성이 커진 성동·마포구와 광진·동작구 등 비강남권 한강벨트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진 영향이다. 성동·마포구에서는 지난달 전용 59㎡의 실거래가가 20억 원을 돌파한 단지들이 속출했다.
성동구 금호동 e편한세상 금호파크힐스 전용 59.9㎡는 지난달 말 역대 최고가인 20억 5000만원에 계약됐다. 이는 직전 거래가인 지난달 초 19억 원에 비해 1억 5000만 원 높은 금액이다. 마포구 아현동 래미안푸르지오1단지 전용 59.9㎡도 지난달 말 역대 최고가인 21억 5000만 원에 팔리며 실거래가 20억 원을 넘겼다.
9·7대책 이후 정부가 토허제 지정 권한을 갖는 법 개정이 추진되면서 해당 지역도 토허제 지정 가능성이 크다고 본 매수자들이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9억∼15억 원 이하 거래 비중도 6월 34.5%에서 7월에는 29.1%로 감소한 뒤 8월 32.2%에 이어 9월에는 36.3%로 늘었다. 이에 비해 강남3구 아파트가 집중된 30억 원 초과∼50억 원 이하 비중은 지난달 1.5%를 차지하며 전월(2.0%)보다 감소했다. 올 6월 4.2%에 비해서는 두 달 연속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50억 원 초과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도 지난 6월 0.94%였으나 8월에는 0.42%로 줄고, 9월에는 0.2%로 감소했다. 6·27 대출 규제로 토허구역으로 묶여 전세를 낀 매수가 불가능한 강남권 고가 아파트 거래는 직격탄을 맞은 대신 전세 낀 갭투자가 가능한 비강남 한강벨트 지역으로 매수세가 몰린 것이다.
중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커지면서 9억 원 이하 중저가 비중은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지난달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6·27 대출 규제 이후 가장 낮은 42.6%를 기록했다. 9억 원 이하 거래 비중은 거래량이 급증했던 6월 37.3%에 그쳤으나 대출 규제 후 7월에는 46.7%로 늘고, 8월에는 50.7%로 절반을 웃돌았다.
시장은 추석 이후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9·7대책에서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50%에서 40%로 낮췄다. 국토부 장관도 공공사업이 없는 단일 행정구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 개정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