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키메라 원숭이

인간 질병 연구의 혁신을 불러올 유전자 조작 영장류

MADE WHAT?
로쿠(Rocu)와 헥스(Hex), 키메로(Chimero)는 원숭이다. 하지만 그냥 원숭이가 아니다.

세계 최초의 영장류 키메라다. 6개의 원숭이 배아(수정란)를 조합해 만든 배아에서 탄생했기 때문이다. 즉 이들은 무려 6마리 원숭이의 유전자를 한 몸에 보유하고 있다.

이 녀석들을 창조(?)한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학 국립영장류연구센터의 생물학자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와 그의 연구팀은 실험용 접시 위에 4세포기의 마카크 원숭이 배아 6개를 올려놓고 마이크로피펫을 사용해 단일 배아로 만들었다. 그리고 며칠 후 이 배아를 암컷 성체 마카크 원숭이의 자궁에 착상시켰다. 이렇게 6개 배아의 유전자들이 함께 섞여있는 세포를 가진 새끼원숭이들이 세상에 태어났다.


THE PURPOSE
그런데 도대체 왜 이런 짓을 한 걸까.

관련기사



연구팀은 인간 질병 연구를 위한 더 진보된 실험 대상을 확보하기 위해 키메라 원숭이를 만들었다. 실제로 지금까지는 암이나 암치료제를 연구할 때 대부분 특정 유전자를 제거 또는 변이시킨 쥐의 몸에서 암 종양을 키운 뒤 실험대상으로 활용했다. 그러나 사람이 아닌지라 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는 한정돼 있다. 쥐 실험에서 효과를 발휘한 신약후보물질 중 무려 90%가 인간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효능이 없거나 치명적 부작용이 발견돼 폐기된다.

반면 원숭이는 인간과 동일한 영장류여서 쥐보다 인간과의 유전자적?생물학적 유사성이 뛰어나다. 때문에 키메라 원숭이를 활용하면 인간과 가장 유사한 변이를 일으켜 지금보다 유용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신약 후보물질 탐색의 정확도를 크게 높여 신약 개발에 투입되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도 아낄 수 있다. 물론 영장류 실험에 대한 윤리적 논란이 더욱 거세질 수 있다는 점은 극복 과제가 될 것이다.

파퓰러사이언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