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소비자연대는 전순옥 의원실과 함께 올여름 신상품으로 출시된 7∼8세 남아용 청바지 23개, 셔츠 22개 제품에 대해 안전성 조사를 진행한 결과, 닥스키즈, 베베, 알로봇, 타미힐피거키즈, 폴스미스주니어 등 12개 브랜드의 옷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NPEO)가 검출됐다고 7일 밝혔다.
이 중 베베와 알로봇의 경우 유럽 섬유환경 인증기준의 기준치(250㎎/㎏)보다 4배 이상 많은 1,321㎎/㎏, 1,059㎎/㎏이 각각 검출됐다.
특히 베베 제품에서는 옥티페놀에톡시레이트(OPEO) 성분도 나왔다. 세정제에 주로 사용하는 NPEO는 위해성 우려 탓에 유럽의 경우 2003년 사용을 제한한 물질이다.
전체 45개 중 7개 제품은 국가기술표준원의 안전·품질표시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ASK주니어 셔츠는 납 성분이 기준치(90㎎/㎏)의 14배인 1,285㎎/㎏ 검출됐고, 닥스키즈, 리틀뱅뱅, 빅애플키즈, 아르마니주니어, 트윈키즈 등 5개 브랜드의 청바지는 pH(수소이온농도)가 기준치(4.0∼7.5)보다 높은 8.0으로 나타났다.
또 25개 제품은 작은 부품에 대한 취급 주의사항을 표시하지 않았고, 13개 제품은 한국소비자원의 섬유권장기준(일광견뢰도·마찰견뢰도)에 미달했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