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책과 세상] 역사도시, 활용과 보존 병행 어떻게

■역사도시 투어리즘(에일린 올바슬리 지음, 눌와 펴냄)


경북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이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던 지난 2010년, 그리고 조선왕릉 40기 전체가 역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2009년. 전국은 문화적 자긍심과 기쁨으로 들썩였다. 동시에 우리에게는 문화적 정체성의 '보존'과 관광 및 교육적 '활용'이라는 공존이 쉽지 않은 두 가지 과제가 동시에 주어졌다.


게다가 관광산업이 대세인 요즘은 역사적 경관이나 유산을 가진 역사 도시는 관광상품으로 각광받고 있기에 이 문제의 해결은 절실하다. 영국 브룩스대 조교수이자 건축학자인 저자는 이 같은 딜레마에 정면으로 도전했다. 그는 스페인의 그라나다 알바이신지구, 영국 요크, 몰타의 성곽도시 음디나, 터키의 옛 도시 안탈리아 그리고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독일의 중세 도시 크베들린부르크까지 5개 역사 도시를 대표 사례로 역사적 건출물과 유적지ㆍ문화재를 보존하면서도 관광객의 발길을 끌어들인 방안을 분석했다.

관련기사



크베들린부르크의 경우 2차 세계 대전의 포화 속에서 운 좋게 살아남아 중세 건축물을 고스란히 지켜냈지만 1990년대 이후 현대화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지방정부는 건물 수리비의 50%까지 보조금을 지원하는 정책을 도입해 1998년까지 1,000여개 건물을 보호하는 데 성공했다. 저자는 "역사도시가 지닌 최고의 자원은 독특한 개성과 차별성"이라며 "틀에 박힌 경영수단과 적당히 타협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 책을 번역한 독서모임 '책술'은 문화재청 소속 공무원들이 2008년에 조직한 동아리다. 매달 1회 이상 추천도서를 소개하고 토론하는 방식으로 독서모임을 운영하면서 문화재 활용에 유익한 이 책을 합심해 번역했다. 1만6,000원.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