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반영구적 자가발전 심장박동기 개발

국내 연구진이 반영구적으로 작동 가능한 심장박동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배터리가 필요 없는 인공심장박동기 개발이 앞당겨지고 생체이식형 의료기기의 수명도 획기적으로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건재 한국과학기술원 교수팀과 정보영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교수팀은 7일 고효율·유연 압전나노발전기에서 자체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반영구적 자가발전 심장박동기 실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인공심장박동기는 심장박동이 불규칙한 환자의 몸속에 이식돼 전기자극으로 이를 규칙적으로 만들어주는 의료장치이다. 기존 제품은 제한된 배터리 수명 때문에 주기적으로 기기를 교체하는 시술이 필요해 환자들이 감염 및 출혈 위험에 노출돼 있었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한 압전나노발전기는 신체의 미세한 움직임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로 심장을 직접 자극할 수 있어 심장박동기의 수명을 늘려준다. 또 심장의 실시간 모니터링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로 부정맥과 같은 심장의 이상 증후를 미리 진단해 심장마비 등을 예방 할 수 있게 됐다”며 “다양한 이식형 의료기기의 에너지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지 7월23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