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AIST, PET-MR용 반도체형 실리콘 광증배관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조규성 교수 연구팀과 나노종합팹센터 설우석 박사 연구팀이 공동으로 PET-MR의 핵심소자인 ‘실리콘 광증배관(SiPM)’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PET-MR은 인체의 해부학적 영상을 제공하는 자기공명영상기기(MRI)와 인체의 세포형태와 대사활동을 분자수준까지 분석할 수 있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기(PET)의 장점이 결합된 최첨단 의료영상기기다. 실리콘 광증배관은 이 기기의 방사선 검출기에 들어오는 빛을 증폭하는 부품이다.


연구팀은 조도가 낮은 PET 감마선 섬광신호를 측정하는 실리콘 광증배관의 구조를 최적화하고 반응속도를 높여 에너지와 시간분해능을 향상시켰다. 또 소자 내부증폭을 통해 저조도의 광량을 100만배 증폭시켜 단일광자까지 측정 가능하도록 했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제작 공정을 단순화해 진공관식 광증배관 대비 1/10 수준의 가격경쟁력을 갖췄으며, 크기는 1/1,000 수준으로 소형화했다.

연구팀은 올해 동물실험을 거쳐 향후 2년 이내에 뇌전용 PET-MR에 적용해 상용화할 계획이다.

조규성 교수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PET-MR 가격이 약 50억원인데 이 부품이 전체 가격의 10% 이상을 차지한다”며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PET 분야에서 커다란 경제적 파급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ed.co.kr


구본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