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0년까지 도시텃밭ㆍ주말농장 8,000개(3,000㏊)가 조성돼 500만명 이상의 참여를 유도한다. 식물생산공장을 산업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8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릴 예정인 '제11차 녹색성장위원회 보고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그린도시농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다.
농식품부는 2020년까지 건물옥상ㆍ학교부지ㆍ공공유휴지 등에 도심텃밭 7,200개소(2,700㏊)를 조성해 녹색공간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지난해 기준으로 200개소인 도시주말농장을 800개(300㏊)로 늘리는 한편 주차장ㆍ쉼터ㆍ농장관리사 등 편의시설을 확충해 이용객들의 불편을 해소할 방침이다. 현재 도시농업에는 70만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건물옥상은 물론 벽면ㆍ방음벽 등에 식물을 심어 도시온도를 낮추고 온실가스를 감축하며 건물 실내를 쾌적하게 하는 녹화기술을 보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15년까지 도시녹화에 활용할 수 있는 식물을 500종 이상으로 늘리고 공기정화식물을 300종 개발하며, 실내식물 400종의 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보기술(IT), 바이오기술(BT), 발광다이오드(LED) 등을 활용한 컨테이너형 첨단농업 식물생산공장을 산업화해 중동 지역 등에 수출할 방침이다. 정부는 남극 세종기지에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을 지난해 1월부터 가동하고 있고 지난 3월에는 연구용 식물공장을 준공했다.
농식품부는 도시농업을 육성하기 위해 올해 '도시 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내년에는 도시농업 활성화 실천계획과 식물생산공장 산업화 종합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도시농업 포털사이트를 구축해 텃밭신청과 계약 등을 인터넷으로 하도록 하고 농사요령 및 기자재 구입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