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사용하지 않는 소변기(waterless urinal)가 세계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획기적인 발명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ABC뉴스 인터넷판이 23일 보도했다.
컨설팅회사 아세티 어소시에이츠는 "물 안쓰는 소변기는 한 번 이용할 때마다 일반 소변기에 비해 물 1~3갤런(3.8~11.4ℓ)을 아낄 수 있다"며 "직원 1,000명의 사업장을 기준으로는 연간 156만갤런(590만ℓ)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소변기가 확산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비위생적일 것이라는 편견.
하지만 이 소변기는 생화학 기름이나 알코올 같은 방수제를 물 대신 흘려 소변은 배수구로 내보내지만 배수구에서 가스가 유입되는 것은 막는다.
애리조나 주립대의 찰스 거바 미생물학 교수는 "기존 소변기는 내부가 거의 항상 물에 젖어 있어 세균막이 형성된다"면서 "물 안쓰는 소변기가 먼저 발명되기만 했어도 세균 오염 문제를 야기하는 물 소변기를 사용하는 사람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화장실기구(World Toilet OrganizationㆍWTO) 설립자인 잭 심은 위생 시설이 거의 구비돼 있지 않은 제3세계 농촌 지역은 물소변기 사용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물 안쓰는 소변기 사용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는 "물 안쓰는 소변기는 (기존 방식과 달리) 소변을 바다가 아닌 논밭으로 보낼 수 있다"면서 "해양오염 문제 해결은 물론 양질의 비료를 제공하게 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