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국인 전용단지 미분양 용지 임대로 전환

정부는 외국인들의 투자 촉진을 위해 현재 외국인기업 전용단지내 미분양 공장용지를 전부 매입해 임대로 전환할 방침이다.산업자원부는 3일 외국 기업들이 전용단지내 공장용지 가운데 임대용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신 분양용지의 분양률은 매우 저조함에 따라 내년 정부 예산에서 외국인 투자유치사업비로 1천억원을 확보, 이 가운데 6백억원을 들여 내년안에 미분양 용지를 전부 매입해 임대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자부는 또 투자유치사업비 가운데 3백85억원은 외국기업들이 공공기관이 개발한 토지를 공장용지로 매입할 경우 일정액을 지원하는데 사용하기로 하는 등 공장용지 매입에 따른 외국 기업들의 부담을 크게 덜어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외국인기업 전용단지는 광주 평동단지의 19만평과 충남 천안단지 14만9천평, 전남 대불단지 29만평 등 62만9천평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미국 보워터社의 요청으로 전체 공단가운데 29만평만 외국인 전용으로지정된 대불단지를 제외한 나머지 광주 평동과 천안단지는 분양이 아예 되지 않고있거나 분양률이 30%에도 못미치는 부진을 보이고 있다. 평동단지는 지난달 말 현재까지 전체 면적의 33%를 차지하는 분양용지 6만2천여평이 단 한평도 분양되지 않았으나 임대는 30%가량 계약이 이뤄졌다. >천안단지도 5만6천여평의 분양용지 중 분양률은 고작 29%에 불과하지만 임대는9만2천여평 전부가 입주해 대조를 보이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이처럼 임대용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은 공장용지 확보에따른 비용이 임대의 경우 연간 평당 4천8백원(천안단지 기준)인데 반해 평당 분양가는 51만2천원에 달해 투자에 따른 비용부담 차이가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에따라 외국 기업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방법으로 분양용지의 임대화를 구상하게 됐다고 밝혔다.(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