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日등 1~2%비해 비정상적"지적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와 일본의 남성 포경수술 비율은 1∼2%에 불과한 반면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포경수술 비율은 95%에 달하는 등 한국인들의 포경수술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 일부 의사들은 북유럽과 일본 등 선진국가의 포경수술 비율이 90% 이상 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고 포경의 정확한 개념도 모르는 등 포경수술 비율과 선진화를 비례 관계로 잘못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사실은 김대식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가 지난해 한해 동안 전국의 의사 267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등을 바탕으로 17일 펴낸 '비정상적으로 높은 남한의 포경수술 비율-그 역사와 원인 분석'이란 논문에서 밝혀졌다.
논문에 따르면 지난 한해 0∼92세까지의 남성 5,43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지난해 말 현재 우리나라 남성의 포경수술 시술 비율은 60% 수준으로 3.2%에 불과했던 60년도보다 무려 20배 가까이, 80년 21.4%에 비해 3배 가까이 급증했다.
포경수술 전후의 성생활 차이에 대해서는 593명 중 79.9%인 474명이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대답했고 '부작용 등으로 성생활이 더 나빠졌다'고 대답한 경우도 13.2%(78명)이나 된 반면 '더 좋아졌다'고 답한 경우는 6.9%(41명)에 불과했다.
윤종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