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농진청, ‘겨울철 딸기가 맛 좋은 이유’분석

‘겨울철에 생산된 딸기가 맛 좋은 이유는 무엇일까’ 농촌진흥청은 딸기 수확시기에 따른 과일 품질을 조사한 결과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당 함량이 높고 신맛이 적어 맛이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6일 밝혔다. 농진청에 따르면 딸기의 맛을 좌우하는 요소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당과 유기산 함량을 조사한 결과 1월에서 4월로 갈수록 당 함량이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매향’ 이라는 품종은 1월에 비해 4월에 수확된 과일에서 당 함량이 17.3%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맛을 좌우하는 유기산 함량도 ‘매향’의 경우 1월에 생산된 딸기에서는 508ppm에 그쳤으나 4월에 813ppm으로 60% 이상 증가했고, ‘설향’은 561ppm에서 723ppm으로 30%가량 늘었다. 따라서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생산된 딸기는 야간 호흡량이 적어 소모되는 양분은 적은 반면 과일의 성숙기간이 길어져 과실이 크고 당도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유기산 함량이 많으면 신맛이 강해져 딸기 맛이 떨어지는데 봄철 온도가 높아져 과일의 성숙기간이 짧아지면 유기산 함량이 감소될 시간적 여유가 부족해 맛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추운 겨울에는 과육이 단단하기 때문에 완숙된 후 수확해도 유통에 문제가 없지만, 봄철에는 과육의 물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70~80% 정도 익은 것을 수확하는 것도 봄철 딸기가 맛이 덜한 이유로 지적됐다. 농진청 시설원예시험장 정호정 박사는 “겨울철에 생산·출하되는 딸기는 과일이 크고 당분의 축적량이 많은 반면 신맛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가장 품질 좋은 딸기를 맛볼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