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승후보 샷 따라잡기<br>"폴로스루 때까지 무릎 각도를 유지하라"<br>클럽헤드가 박히지 않게<br>페이스 열고 중립 그립으로<br>스윙은 강하게 휘둘러야
             
            
  |  | <사진3> |  
  | 
  |  | <사진1> |  
  | 
  |  | <사진2> |  
  | 
 그린 주변 벙커 샷이 됐다 안 됐다 해서 고민이라는 아마추어 골퍼들이 많다. 기본이 되는 몇 가지를 자꾸만 잊어버리기 때문에 이런 고민이 생긴다.
 벙커 샷에서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일까. 머리 속이 '페이스 열고, 스탠스 열고, 볼 뒤 모래를 치고' 하는 생각으로 가득 차 있는 건 아닐까.
 ◇하체의 움직임을 잡아라= 기본기보다 더 중요하지만 간과하는 것 중 하나는 하체의 움직임을 없애는 것이다. 벙커 샷은 클럽헤드가 닿는 모래 위 지점에 따라 비거리가 확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지점을 내리치는 게 필수다. 백스윙과 다운스윙에서 다리가 상하좌우로 움직인다면 매번 다른 지점을 때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프로 선수들의 사진을 보면 스윙 내내 하체의 움직임을 억제하면서 폴로스루 때까지 무릎 각도를 유지하는 모습이 확인된다.
 ◇페이스 열고 중립 그립으로= 클럽헤드가 볼 아래 모래를 통과하기 쉽도록 준비자세를 갖추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중립 또는 위크(weak) 그립 잡기와 페이스 열어주기다.
 샌드웨지는 헤드 솔(바닥)이 넓으면서 뒤쪽의 불룩한 부분인 바운스가 리딩에지(페이스 하단부)보다 더 낮게 설계돼 있다. 내리쳤을 때 헤드가 모래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간 뒤 더 이상 파고들지 않고 볼 아래를 통과하게 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바운스 부분이 리딩에지보다 먼저 모래에 닿도록 하는 게 성공 열쇠다. 중립이나 위크 그립으로 잡으면 임팩트 순간 페이스가 닫히면서 박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셋업 때 페이스를 열어주는 것도 같은 이유다.
 ◇강하게 휘둘러라= 충분히 강하게 휘두르는 것도 중요하다. 탈출이 가장 큰 목적인데 너무 약하게 쳐서 나오지 못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임팩트 때 풀스윙과 마찬가지로 왼팔을 뻗어야 모래의 저항을 이겨내고 폴로스루까지 확실히 휘두를 수 있다.
 물론 이 모든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요소는 자신감이다.
   
     
■ 페이스 각도로 벙커 탈출 쉽게 하기 
① 모래 위에 놓여 있을땐 페이스 열고 ② 일부 묻혔다면 직각으로 ③ 완전히 잠겼다면 페이스 닫아
 벙커 샷을 실수하는 가장 큰 원인 가운데 하나는 걱정과 너무 많은 생각이다. 특히 볼이 모래에 놓인 상태(라이)에 따라 어떻게 쳐야 할지 모르는 골퍼가 많다.
 생각을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스탠스와 스윙을 그대로 유지하고 그 대신 페이스 각도만 바꾸면 어떤 라이에서도 탈출할 수 있다. 벙커 샷의 핵심은 모래를 떠내는 것인데 라이가 좋을 때는 적게, 나쁠 때는 많이 떠내는 것이다. 볼이 모래 위에 깨끗이 놓여 있다면 페이스를 열어주고<사진1>, 볼의 일부가 묻혔다면 직각으로<사진2>, 볼이 모래 속에 완전히 잠겼다면 페이스를 닫아준다<사진3>.
 이제 해야 할 일은 라이에 따라 페이스의 각도만 바꾸고 볼의 뒤쪽을 내려치는 것이다. 볼은 모래와 같은 방향으로 날아가고 모래는 페이스가 가리키는 방향이 아니라 스윙하는 방향으로 날아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