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동일본 대지진 1년… 바뀐 산업 지형도 한국기업, 日 공략 시작됐다

현대 車시장 적극 진출<br>삼성은 가전시장 노크

한국과 일본 산업의 역학관계가 달라졌다. 현대자동차가 일본 승용차시장 진출을 적극 모색하고 있고 삼성은 일본 본사를 해체한 데 이어 가전시장을 노크하고 있다. 한국 기업의 대(對)일본 공략이 시작된 것이다. 이 같은 변화는 지난해 동일본 대지진 후 일본 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일본 시장의 장벽은 낮아진 데 따른 현상이다.

8일 재계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들은 일본 시장에 대한 전략을 큰 틀에서 재조정하고 있다. 우선 삼성은 '철옹성' 같은 일본의 휴대폰과 가전시장 공략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새로 짜고 있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는 "10여개 자국 브랜드들이 버티고 있어 좀처럼 시장점유율을 늘리기 어려웠던 일본의 가전시장도 앞으로 본격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삼성은 최근 일본 내 헤드쿼터 역할을 했던 일본삼성을 해체하고 계열사별 독립체제로 전환했다. 이는 더 이상 일본에서 계열사들이 '일본삼성'이라는 이름 아래 뭉쳐있어야 할 필요가 없어졌을 만큼 대일본 의존도가 낮아졌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현대자동차 역시 자동차 강국 일본의 재입성 기회를 엿보고 있다. 현대차는 막강한 일본 완성차업계에 밀려 지난 2009년 승용차 사업을 철수시켰다. 그러나 일본 대형버스시장에서 선전하자 최근 대형트럭 수출을 준비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상용차를 통해 탐색전을 펼친 후 결국 승용차시장에도 다시 진출하지 않겠냐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밖에 부품ㆍ소재 분야에서 절대적이었던 일본산에 대한 의존도 역시 크게 줄고 있다. 박기임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2005년부터 둔화 양상을 보였던 대일 수입은 지진을 계기로 급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한국의 글로벌 조달구조 자체가 바뀌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