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무원단, 연봉차이 최대 20%"
중앙인사위, 직무등급 확정
강동호 기자 eastern@sed.co.kr
이달부터 고위공무원단제도가 시행된 가운데 1~3급 공무원들의 직급 역전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연말쯤 이 제도의 효력이 나타나는 시점에서 공무원들이 느끼는 충격파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인사위원회는 6일 행정자치부ㆍ기획예산처 등 관계부처간 협의를 거쳐 중앙정부부처 국장급 이상 1,240개 직위에 대한 직무등급을 최종 확정, 부처별 배정작업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전체 고위직의 직무등급 구성은 가급 104개(8.4%), 나급 90개(7.3%), 다급 347개(28.0%), 라급 308개(24.8%), 마급 391개(31.5%) 등으로 정해졌다.
기존 급수별로는 1급(관리관) 공무원(221명) 직위가 가급으로 된 경우가 46.6%, 나급이 40.7%였으며 다급 이하로 떨어진 경우도 12.7%나 됐다. 2급 직위는 대부분 다~마급으로 분포된 가운데 오직 한자리(국방부 자원관리본부장)만 가급으로 정해졌다. 대부분 마등급으로 분류된 3급 직위 중 다~라급으로 정해진 경우도 99건이나 됐다.
해당 공무원들은 올 연말 혹은 직위가 바뀔 때까지의 경과기간을 거쳐 최고 1,200만원(가급)에서 최하 240만원(마급)의 차별화된 직무급을 적용받는다. 중앙인사위는 기준급-직무급-성과급 등 3단계로 구성된 고위공무원 연봉체계에 따라 최대 20.5%의 연봉 차이가 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영호 중앙인사위 사무처장은 "이번 직무평가의 기준은 직무의 특성과 난이도에 따라 국제적으로 공인된 헤이 기법(Hay Method)을 적용했다"며 "국립병원장ㆍ농업과학기술원장 등 과학기술 분야 직위가 행정직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직무등급을 받은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입력시간 : 2006/07/06 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