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1,000만원 이상을 불입해야 하는 고액 정기저축예금 계좌 중 10대와 20대가 보유한 계좌가 8,000개에 육박, 고소득층의 새로운 편법 상속수단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금융감독원이 5일 국회 정무위 한나라당 엄호성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으로 월 1,000만원 이상 정기저축예금 계좌수는 모두 6만3,575계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30대가 가지고 있는 계좌는 2만130개로 전체의 31.7%를 차지, 가장 비율이 높았다. 다음으로 50대 이상이 28%(1만7,824계좌), 40대가 27.8%(1만7,694계좌), 20대가 11.5%(7,338계좌), 10대가 1%(589계좌)를 각각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 1,000만원 이상 불입 정기저축예금 계좌의 은행별 분포를 살펴보면 한미은행이 전체의 74%(4만7,262계좌)를 차지, 타은행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이어 우리은행이 12%(7,522계좌), 대구은행이 4.3%(2,743계좌), 국민은행이 2.8%(1,807)를 각각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 의원은 “일반적으로 도시근로자의 평균 저축률이 수입의 30% 가량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월 소득이 3,000만원 이상이 돼야 월 1,000만원 이상 정기저축을 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며 “지난 6월말 기준, 10대와 20대의 1,000만원 이상 정기저축 계좌수가 무려 7,927개에 달해 고소득층의 새로운 편법 재산상속 수단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임동석기자 freud@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