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노조선 “와해 음모” 주장정부가 기아그룹 회생을 위해 은행권에 대한 한국은행 특별융자 전제조건으로 기아자동차 등 기아그룹 계열사 노조의 단체협약을 갱신토록 요구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기아그룹 노조는 단체협약 갱신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재경원을 중심으로 한 정부는 기아그룹 회생을 위한 은행권에 대한 한은특융을 집중 검토하고 있으며 전제 조건으로 국내 전체노동계의 단체협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기아 노조의 단체협약을 갱신해야 한다는 입장을 채권은행단에 전달한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채권은행단의 한 관계자는 이날 『정부가 한은특융의 전제조건으로 기아의 단체협약 수정을 비공식 통로를 통해 전달해왔으며 이를 기아 경영진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문제삼는 기아그룹 노조의 단체협약 내용은 ▲과도한 휴무조항 ▲노조의 작업중지권 ▲생산직사원의 전환배치시 노조동의권 등 국내 노동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항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기아그룹 노조측은 『정부와 채권은행단이 노조차원의 자구계획을 노사합의문에 담고 단체협약갱신까지 요구하고 나선 것은 노조와해를 겨냥한 것』이라고 주장했다.<정승량 기자>
◎기아 정부개입 안해/강 부총리
강경식 부총리겸 재정경제원장관은 지난 27일 기아사태와 관련, 『기아문제는 기아 스스로가 자구노력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부총리는 이날 상오 방영된 KBS 정책진단 프로그램에 출연, 이같이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