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전기요금 개편, 단계적 추진으로 충격 줄여야

산업통상자원부가 6단계로 돼 있는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체계를 단순화하기 위한 작업을 재개한다. 곧 연구용역 주체를 선정해 가전제품, 주거환경 변화 등에 따른 전기사용 실태를 분석하고 누진제 개편안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에 들어간다. 6·4지방선거가 끝나면 당분간 큰 선거가 없다는 점도 고려했을 것이다.

관련기사



우리나라는 오일쇼크를 계기로 절전을 유도하면서 서민층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가구에 징벌적 누진요금을 물려왔다.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12단계로 차등화한 적도 있지만 2004년부터 100㎾h 간격으로 6단계 누진요금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런 탓에 한여름에 에어컨을 틀면 요금이 2~3배로 뛰는 경우가 다반사다. 최저·최고구간의 요금격차가 11.7배로 일본 1.4배(3단계), 미국 1.1배(2단계) 등에 비해 지나친 것이 사실이다. 정부 여당과 한국전력이 누진구간과 요금격차를 2~4단계, 4~8배로 줄이는 방안을 검토해온 것도 이 때문이다. 산업부와 한전은 그동안 누진요금 체계 변경을 전기요금 현실화 차원에서 접근해왔다. 사용량이 100㎾h 미만인 1단계 구간의 요금은 원가의 절반에 불과하다. 게다가 저소득층이 아닌 1~2인 가구에까지 원가 이하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저소득층의 경우 요금할인이나 에너지바우처 지원 등의 방식으로 해법을 찾을 수 있다. 문제는 부담이 늘어나는 중산층의 반발이다. 지난해 중산층 논란과 함께 원점으로 회귀한 세제개편안처럼 섣부른 누진요금 체계 개편 추진은 자칫 역풍으로 돌아올 수 있다. 앞서 논의됐던 2~3단계로의 누진 구간 개편안은 전기를 많이 쓰는 고소득층의 부담만 덜어주고 전기 소비량을 늘릴 것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중산층의 요금인상 부담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단계적으로 접근해야 역풍을 피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