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건설교통부 장관은 새 정부가 추진하는 한반도 대운하와 관련 “충분한 검토와 국민적 합의를 거친 후 신중히 해야 하며 요식행위 의견수렴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16일 기자 간담회를 갖고 “우리의 국토는 대대손손 물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회적 협의과정을 거쳐 갈등을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사실상 현재 일방적으로 추진되는 대운하에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장관은 지난 1995년부터 아직까지 마무리 되지 않고 있는 경인운하를 예로 들어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13년째 추진되지 않고 있다”며 “(대운하도) 합의와 공론을 거쳐 결정돼야 국민의 행복과 국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인수위원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양도소득세ㆍ종합부동산세 등 세제 정책과 관련해선 크게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 장관은 “양도세 장기보유 특별공제폭을 20년으로 상향하는 것은 참여정부의 정책을 보완하는 차원”이라며 “종부세 역시 기준을 6억원으로 하든 9억원으로 하든 정책적으로 판단할 문제로, 역시 (참여정부 정책의) 근간을 흔드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와 함께 오는 4월 총선에 출마할 뜻을 밝혔다. 그는 “일정상 다음달 9일까지 사표를 내야 하지만 그 전에 낼 수 있다”며 “아직 지역구나 당을 선택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