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전 일부 사외이사 "김중겸 사장 경질 반대"

교체되면 이사회도 배임논란 못벗어나<br>"잘못된 전기요금제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국전력의 일부 사외이사들이 청와대와 정부가 김중겸 사장의 경질을 검토하고 있는 것에 반발하고 나섰다. 연말까지 김 사장에게 추가적인 전기요금 인상을 위임해놓은 이사회도 심각한 고민에 빠지게 됐다. 김 사장이 교체되면 나머지 이사회 구성원들도 배임 논란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이들의 판단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전 사외이사는 4일 "전력거래소에 대한 4조원대 소송 때문에 정부 측에서 김 사장의 교체를 검토하고 있는 것 같은데 이런 문제로 사장을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전기요금 문제에 관한 한 잘못된 제도는 바로잡고 물가안정은 다른 쪽으로 풀어야 한다"며 "이번 소송건과 전기요금 인상에 관한 한 김 사장의 입장을 이해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사외이사도 "사장을 교체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올 들어 김 사장은 정부와 갈등을 빚으면서도 전기요금 인상, 전력거래소 소송 등을 추진해왔다. 전기요금 인상률을 한자릿수로 해야 한다는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의 요구에도 7월 10.7%의 인상안을 의결하기도 했다. 결국 4.9% 인상으로 물러섰지만 초강수를 계속 뒀다.


이는 배임 혐의를 피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한전 소액주주들은 김쌍수 전 사장을 상대로 전기요금 인상 노력 부족을 이유로 2조8,000억원의 손해배상 청구를 냈다.

관련기사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사외이사 등 이사회 멤버들도 여기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한전 이사회는 8월 4.9% 전기요금 인상 의결시 연내에 전기요금을 추가로 올리되 구체적인 시점과 폭은 김 사장에게 위임했다. 즉 김 사장에게 연말까지 전기요금 추가 인상을 맡겨놓은 것이다.

그런 김 사장이 바뀌면 경영 정상화는 한동안 어려워지고 배임 논란마저 일 수 있다는 게 일부 이사들의 생각이다. 지난해 3조2,92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던 한전은 올 상반기에만 2조2,779억원의 손실을 냈다.

향후 한전 이사회 운영도 김 사장의 거취에 따라 파행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전의 한 사외이사는 "정부 측에서 강력한 신호를 보낸다고 하더라도 전혀 위축되지 않을 것"이라며 "잘못된 것을 어떻게 계속 운영하느냐"고 말했다.

한전은 이에 대해 "이사회의 공식 입장이 아니며 확인된 바도 없다"고 해명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