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9ㆍ5 주택가격 안정대책`의 여파로 은행권이 신규 아파트 분양자나 재건축 단지의 주택소유자 등을 대상으로 이주비나 중도금, 잔금 등을 빌려주는 `집단대출` 시장에도 찬바람이 불어 닥치고 있다.
정부의 강도 높은 조치로 아파트 신규건립 및 재건축 시장이 급속히 얼어붙으면서 신규 건축허가나 재건축 사업승인 후에 이루어지는 대출물량이 크게 줄어들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신규물량이 나오더라도 과거에 비해 분양가가 낮아져 개별 사업당 대출규모 역시 축소가 불가피 할 전망이다.
8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권은 정부가 올들어 주택담보대출의 담보인정비율(LTV)을 60%에서 50%로 낮추고 아파트의 `선시공ㆍ후분양`제도를 시행키로 한데 이어 이번에 중소형 의무건축비율 확대와 조합원 분양권 전매금지 등을 골자로 한 추가대책을 내놓자 집단대출 수요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고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우리은행의 한 집단대출 담당자는 “정부의 이번 조치로 아직 사업계획 승인을 받지 않은 단지의 경우 재건축 추진 자체가 어려워지거나 사업성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은행들이 이를 담보로 대출을 해 줄 수 있는 집단대출 물량자체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미 일반분양이나 재건축 사업계획 승인을 받은 곳의 경우 집단대출을 집행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은행권은 그동안 집단대출의 경우 담보확보로 부실가능성이 낮고 대량(1가구당 평균 1억5,000만원)으로 물량을 따낼 수 있는데다 건설회사로부터 부수적인 금융거래를 유치할 수 있다는 장점 등이 있어 경쟁적으로 이를 취급해 왔다. 실제로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권의 집단대출 총 규모는 33조6,100억원으로 지난해 말(22조4,800억원)에 비해 49.5%(11조1,300억원)나 증가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아파트 재건축 시장이 크게 위축되면서 집단대출 물량 확보를 위한 마케팅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하반기 대출목표를 축소 조정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조흥은행의 한 집단대출 담당자도 “현재로선 건전성이나 수익성 등 여러 면에서 집단대출을 대체할 만한 마땅한 자금운용 수단이 별로 없는 실정”이라며 “하지만 이처럼 집단대출 수요가 줄어들면서 실수요 중심의 한정된 물건을 확보하기 위한 금리덤핑 등 과열경쟁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진우기자 rain@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