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15일 박근혜 전 대표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하고 친박계는 일선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박 전 대표는 내년 4ㆍ11 국회의원 공천에서 대대적인 물갈이에 나선다.
한나라당은 이날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박 전 대표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했다. 또 대선주자인 박 위원장을 위해 비상대책위원장과 비상대책위원은 당권과 대권분리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내용의 당헌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라 오는 19일 당헌 개정안이 전국위원회를 통과하면 박 전 대표 중심의 비상대책위원회가 공식 출범한다. 2006년 박 전 대표 체제가 만들어진 후 5년간 이어졌던 당권ㆍ대권 분리 규정이 상임전국위가 열린 지 단 30분 만에 '해제'된 셈이다. 그만큼 비상시국이라는 것이 당내의 일치된 생각이었으며 이에 따라 친박계와 쇄신파 간의 재창당 논란으로 내홍을 겪었던 한나라당의 갈등은 일단 봉합 수순으로 들어갔다.
박 전 대표는 공천심사위원회가 구성되자마자 외부인재 영입에 직접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또 친박계도 당직은 물론 총선 불출마 등으로 박 전 대표의 행보에 힘을 실어줄 계획이다.
상임전국위원회에 앞서 열린 이날 의원총회에서 박 전 대표는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최고의 가치를 두고 하나가 되어 나가자"며 당의 화합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우리 하나 되어 열심히 노력하자. 이 말 속에 친이ㆍ친박 문제라든가 이런저런 문제가 다 녹아 있다"면서 사실상 친박계를 포함한 계파해체를 선언했다
이날 의총에서는 박 전 대표에게 힘을 실어주는 발언이 줄을 이었으나 원희룡 전 최고위원은 "'박 대표에게 다 맡기고 잔소리하지 말라'는 식의 비민주적인 정당 운영을 전제로 해서는 몇 발자국 못 간다"며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
또 친박계인 최경환ㆍ윤상현 의원은 박근혜 비대위에서 친박계가 당직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