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짝퉁 식품' 발 못붙인다

소고기 장조림이나 샤부샤부용 양고기로 둔갑한 돼지고기, 참치로 둔갑한 기름치, 토종닭으로 팔리는 일반닭 등 육안으로 식별하기 힘든 가짜식품을 과학적으로 판별해 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값싼 가짜 원료를 사용하거나, 표시사항을 허위로 기재하는 이른바 ‘가짜식품’을 과학적으로 가려낼 수 있는 22가지의 유전자분석법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식별이 가능해진 식품 및 원재료는 소ㆍ돼지ㆍ염소ㆍ양ㆍ말ㆍ사슴ㆍ닭ㆍ오리ㆍ칠면조ㆍ타조 고기 등 식육 10종, 대구ㆍ청대구ㆍ명태ㆍ오징어ㆍ한치ㆍ틸라피아 등 어류 및 해산물 6종, 마늘ㆍ무ㆍ양파ㆍ녹차ㆍ시금치ㆍ클로렐라를 포함해 모두 22종이다. 특히 유전자분석법은 각 식품이 갖는 고유한 유전자(염기서열)를 확인하는 시험법이기 때문에 분쇄된 형태나 가공식품에 소량만 사용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어 식품범죄를 보다 확실하게 가려낼 수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다진 마늘의 무게를 늘리기 위해 양파 또는 무를 혼입한 제품, 돼지고기로 만든 장조림에 소고기 향을 넣어 소고기 장조림으로 둔갑시킨 제품 등 다양한 가짜 식품을 가려낼 수 있다”며 “유전자분석법을 관계 기관에 배포해 가짜식품으로 의심되는 경우 식품원료의 진위판별에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식약청은 올해 안에 추가로 7종의 유전자분석법을 마련하고, 3년 이내에 소비량이 많고 사람들이 자주 먹는 식품 100종 이상의 시험법을 개발할 계획이다. 식약청은 “유전자분석법이 가짜 식품 적발 및 판별에 큰 효과를 거둘 뿐 아니라 업계의 경각심 제고를 통한 자정 분위기 조성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