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제주도의 생활물가 상승률이 전국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물가 상승률은 광주가 최고를 기록했고 공공 서비스 요금 상승률은 경기도가 1위를 기록했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 1~5월 전국 생활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1% 상승했고 광역단체별로는 제주도가 6.2%로 가장 높았다. 장바구니물가로도 불리는 생활물가는 식료품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구입하는 품목으로 구성돼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생활물가 상승률은 4.5%로 전국 평균보다 훨씬 낮았다. 제주도 다음으로 생활물가 상승률이 높은 광역단체는 강원(6.1%), 충북(5.9%), 경북(5.8%), 경남ㆍ전남ㆍ울산(이상 5.6%) 등의 순이었다.
학부모들의 교육비 부담을 보여주는 교육물가는 이 기간 전국 평균 5.6% 올랐고 광역단체별로는 광주 7.2%, 충북 6.4%, 인천ㆍ경남 6.1%, 경기ㆍ충남 6.0% 등의 순으로 높았으며 서울은 5.1%로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아울러 공공 서비스 요금 상승률은 정부와 지자체의 공공요금 억제 정책 등으로 전국 평균 3.0%를 기록,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보였지만 광역단체별로는 차이가 컸다. 경기도가 3.8%로 가장 높았고 강원 3.7%, 인천 3.4%, 서울ㆍ경북 3.2% 등은 전국 평균을 웃돌았으며 충북(3.0%)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2%대의 상승률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