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예산절감액 등 가용재원을 활용해 지하철 건설부채를 획기적으로 줄이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올해 편성된 추가경정예산 중 실가용재원(8,835억원)의 50%를 웃도는 4,483억원을 포함해 총 1조2,628억원의 재원을 확보, 지하철 건설부채를 상환할 계획이다.
김순직 서울시 대변인은 21일 “도시철도공채 발행 등 빚을 얻어 빚을 갚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세계잉여금, 예산절감액 등 가용재원을 적극 활용해 지하철 부채를 줄이는 대책을 수립, 시행키로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말 4조8,306억원에 달했던 지하철 건설부채 원금은 올해말 3조8,182억원으로 20% 가량 줄어들 전망이다.
이명박 서울시장은 지난해 취임후 `시정운영 4개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2006년까지 지하철 건설부채를 절반 가량인 2조3,721억원으로 줄이기 위한 대책을 20대 과제로 선정한 바 있다.
그러나 서울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의 영업손실 등에 따른 운영부채(9,037억원)는 두 공사가 경영쇄신을 통해 상환한다는 방침을 유지했다.
김 대변인은 “공채를 발행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순수 일반회계 예산을 가지고 지하철건설 부채를 갚는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며 “세계적인 신용평가사인 피치사의 아시아ㆍ유럽 책임자가 지난달 방문, 서울시 신용등급 상향조정 의사를 피력하는 등 부채상환 노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