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샐러리맨 평균 연봉 3,240만원..상위 10%는 9,287만원

전경련, 지난해 소득분위별 근로자 임금 원시 데이터 분석

우리나라 전체 임금근로자의 지난해 평균연봉은 3,240만원으로 조사됐다. 또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 연봉이 6,278만원으로 중소기업(3,323만원)의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고용노동의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대상 1,404만명의 원시 데이터를 분석해 ‘2014년도 소득분위별 근로자 임금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고용주, 자영업자 등을 제외한 임금근로자 중 상위 10%에 해당하는 근로자의 연봉은 6,408만원 이상이었고, 상위 20%는 4,586만원~6,408만원, 상위 30%는 3,600만원~4,586만원이었다.




소득분위(상위%)연봉하한액(만원)
10분위 (0∼10%)6,408
9분위 (10∼20%)4,586
8분위 (20∼30%)3,600
7분위 (30∼40%)2,982
6분위 (40∼50%)2,465
5분위 (50∼60%)2,100
4분위 (60∼70%)1,787
3분위 (70∼80%)1,440
2분위 (80∼90%)959
1분위 (90∼100%)120


지난해 근로자 평균연봉은 3,24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3,140만원 대비 3.2%(100만원) 늘어난 금액이다. 또 임금근로자 100명 중 소득 상위 50번째 근로자의 연봉(중위소득)은 2,465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임금과 중위임금의 격차가 큰 이유는 상위 소득자 중 일부가 워낙 고액의 연봉을 받아 평균을 끌어 올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임금근로자 중 상위10%가 가져가는 총연봉은 임금근로자 전체 연봉의 28.7%를 차지했다.



이는 연봉금액별 근로자수를 보면 확연히 드러난다. 1억원 이상 근로자가 35만 1,381명으로 전체 근로자중 2.5%를 차지했다. 이에 반해 연봉 4,000만원 미만 근로자수는 1,048만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74.6%에 달했다. 4,000만~6,000만원이 13.6%, 6,000만~8,000만원이 각각 13.6%와 3%였다.

관련기사



연봉액근로자(명)비중(%)
1억원이상351,3812.5
1억원미만∼8천만원415,1073
8천만원미만∼6천만원886,1406.3
6천만원미만∼4천만원1,911,73913.6
4천만원미만∼2천만원5,236,49037.3
2천만원미만5,243,57637.3
합계14,044,433100


같은 분위에서도 연봉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봉이 6,400만원 이상이면 상위 10% 안에 들지만 상위 10%의 평균 연봉은 9.287만원에 달했다. 그만큼 상위 1~2%의 연봉이 높다는 의미다.

이밖에 9분위(10~20%)는 5,390만원, 8분위(20~30%)는 4,030만원, 7분위(30~40%)는 3,256만원, 6분위(40~50%)는 2,708만원, 5분위(50~60%)는 2,284만원, 4분위(60~70%)는 1,920만원, 3분위(70~80%)는 1,594만원, 2분위(80~90%)는 1,216만원, 1분위(90~100%)는 584만원이었다.

전경련 이철행 고용복지팀장은 “동일한 원시 데이터를 활용한 고용부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연봉은 6,278만원, 중소기업 정규직은 3,323만원 이었다”라며, “이는 각각 임금근로자 중 소득 상위 10.5%, 35.7%에 해당하는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