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준비 안 된 개혁' 베네수엘라, 100볼리바르 지폐 유통 시한 재연장

내년 1월 2일 → 1월 20일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수도 카라카스에서 100볼리바르 유통시한 재연장 방침을 발표하고 있다. /카라카스=AFP연합뉴스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수도 카라카스에서 100볼리바르 유통시한 재연장 방침을 발표하고 있다. /카라카스=AFP연합뉴스


준비되지 않은 화폐 개혁으로 혼란에 빠진 베네수엘라가 기존 최고액권인 100볼리바르 지폐의 유통 시한을 재연장했다.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내년 1월 20일부터 100볼리바르 지폐의 유통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국민들이 신년 축제 기간에 화폐 교환 문제로 걱정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기존 1월 2일까지였던 시한을 다시 연장한 것이다.


이번 조치는 ‘화폐대란’을 막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풀이된다. 베네수엘라 정부는 물가 폭등에 대처하기 위해 15일부터 500·1,000·2,000·5,000·1만·2만볼리바르짜리 지폐를 새로 유통하고 현행 최고액권인 100볼리바르화 사용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 국경 지역에서는 볼리바르화를 사들여 시중가격보다 저렴한 베네수엘라 상품을 산 뒤 콜롬비아에서 비싸게 되파는 방식의 밀수가 성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주로 쓰이는 100볼리바르화의 유통을 금지시켜 생필품난을 막아보겠다는 조치였다.

관련기사



문제는 약속한 일정에 맞춰 고액권이 준비되지 못하면서 불거졌다. 은행 앞에 장시간 줄을 서도 낮은 단위의 화폐를 받아가게 되자 기존에 돈뭉치를 들고 다녔던 사람들이 돈을 자루에 담는 등 불편이 심화하고 저액권 화폐 부족 현상까지 생기면서 유통도 마비됐다. 정부의 미숙한 대응에 항의하는 소요 사태가 지난 16일 6개 도시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3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다. 마두로 대통령은 당시 기존 지폐를 대체할 신권의 도입이 항공기 수송 방해로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지만 그는 용의자 등 자세한 정보를 밝히지 않았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